남북관계가 ‘흡수통일론’에 꼬이고 있다.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 민간부위원장의 ‘흡수통일’ 발언 논란을 강력 비난하고 나선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북한이 남북관계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고도의 전략이라는 주장도 있다.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지난 14일 대변인 담화에서 정 부위원장의 발언을 비난하며 통준위 해체와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겉으로는 남북관계 개선에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흡수통일론은 남북관계를 더 꼬이게 만들었다는 지적은 일리가 있다.
정종욱 부위원장은 지난 10일 한 강연회에서 “체제통일만 연구하는 팀이 위원회 가운데 따로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고, 이 논쟁은 흡수통일론으로 비화됐다. 정부는 이 같은 논란에 대해 “흡수통일 준비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도 15일 “우리 정부는 북한이 주장하는 흡수통일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조평통은 통준위를 해체하지 않으면 “현 남조선 당국과 상종조차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북한의 강경모드엔 숨의 의도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문제가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2013년에도 북한이 ‘남조선 당국과 상종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적이 있지만 곧바로 회담이 열린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2013년 6월 남북당국회담이 수석대표의 격(格) 문제로 무산된 직후 북한이 조평통 대변인 담화를 통해 “지금 우리 군대와 인민은 무뢰한들과 더 이상 상종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7월에 개성공단 실무회담이 열렸었다.
일각에서는 정종욱 부위원장이 광복 7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민간위원장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남북 간에 관련 행사를 논의할 때 부담이 되지 않겠느냐는 우려감도 제기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번 흡수통일 논란을 우리 정부를 압박하는 소재로 활용하며 남북관계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전략으로 분석하고 있다.
조성은 기자
북,흡수통일론 반발-주도권 장악의도?
입력 2015-03-15 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