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이사회 내에 투자자 권익보호를 위한 가칭 주주권익보호위원회 설치를 검토키로 했다.
네덜란드 공무원연금 자산운용회사인 APG의 박유경 아시아지배구조 담당 이사는 13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에서 열린 2015년 현대차 정기주총에서 특별발언을 통해 이사회 산하에 지배구조 개선과 투자자 권익보호를 위한 조직을 두고, 해당 조직에서 매년 한차례씩 현황 보고서를 발간할 것을 요구했다. 박 이사는 “주주들의 주된 고민을 최대한 해소하고, 글로벌 스탠더드를 충족할 수 있도록 이사회 내부에 ‘거버넌스 위원회(가칭 주주권익보호위원회)’를 정식으로 구성하고, 위원회의 활동 결과 등은 매년 사외이사 대표 이름으로 성명서를 내거나 보고서 형식으로 공식 발표해 달라”고 요청했다. 주총 의장을 맡은 김충호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도 현재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경영환경과 이사회 등에 반영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현대차는 이사회 산하 윤리위원회의 기능에 기존의 준법경영 외에 소액주주와 투자자 권익보호를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정기 주총에서 윤갑한 현대차 사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했다. 또 이동규 전 공정거래위원회 사무처장과 이병국 전 서울지방국세청장은 신규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이들은 각각 김앤장법률사무소 고문과 이촌세무법인 회장으로 근무 중이며, 주총에서 감사위원회 위원으로도 선임됐다. 정몽구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 김충호·윤갑한 사장 등 4명의 사내이사와 5명의 사외이사 등 9명의 임원에 대한 보수한도는 150억원으로 정해졌다. 작년과 같은 액수이다. 지난해의 경우 150억원 중 사외이사 5명에게 1인당 9500만원이 지급됐다. 이날 현대차 주총은 당초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고가 매입 논란에 따른 주가 하락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별다른 반대 없이 30분 만에 끝났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현대차, 주주권익보호위원회 구성 검토
입력 2015-03-13 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