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실전 배치된 군 당국 차원에서 북한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양국이 외교·국방부간 전략대화 차원에서 북한 문제를 동북아지역 의제의 하나로 다루고 있지만 군 당국간 논의가 이뤄진 것은 이례적이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에 따르면 빈센트 브룩스 미국 태평양 육군사령관은 최근 브루킹스연구소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문제에 대해 중국 측 카운터파트들과 논의했다”고 말했다.
육군 대장인 브룩스 사령관은 “지난 몇 주 전 베이징과 하이난에서 북한 문제를 논의했다”고 확인했다. 브룩스 사령관이 지난 1월 21일부터 24일 베이징에서 인민해방군 고위층을 만나고 하이난 지역에서 미·중 재난대응 협력 회의에 참석한 것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브룩스 사령관은 “우리는 이미 중국과 북한 문제에 대해 대화했으며 일본, 한국과도 당연히 논의했다”며 “북한의 행동은 도발적이며 투명하지 않기 때문에 잠재적 오판의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다른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북한) 기술의 수준과 확산 능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외교소식통들은 현시점에서 미·중 군 당국이 북한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더라도 깊이 있는 수준이 아니라 일반론적 차원에서 머물렀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중국이 미국을 상대로 북한 문제를 논의하는 것 자체를 반기지 않는 데다 북한 정권의 지속가능성이나 비상 또는 급변사태와 관련한 논의는 더더욱 꺼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게 소식통들의 설명이다.
지난주 브룩스 사령관과 워싱턴 전문가들과의 대화에 참여한 브루킹스 연구소의 리처드 부시 선임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은 우선적으로 북한의 선택지를 좁히기 위한 방편으로 제재와 압력을 유지할 필요성을 논의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미국이 대화와 협상에 좀 더 유연성을 발휘하도록 독려했을 것이고, 미국은 북한이 급변사태가 일어났을 경우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나 “중국은 급변사태와 관련해 거의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미·중, 軍 당국간 북한 문제 논의
입력 2015-03-11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