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 시대 개막을 앞두고 전 세계 IT 공룡들의 인수·합병(M&A)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IoT 시대를 선점하기 위해서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을 흡수하는 게 경쟁력 확보에 지름길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10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및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등에 따르면 IoT 관련 신생기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관련 신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대기업들의 M&A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451리서치는 지난해 IoT 부문 업체 간 M&A 거래가 60여건, 143억달러(약 15조원) 규모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IoT 분야 M&A 건수는 2010년 12건, 2011년 17건, 2012년 14건, 2013년 19건에서 지난해 3배 이상 늘어났다. 금액 기준으로는 8배에 달했다.
구글은 지난해 1월 온도조절장치 제조기업 네스트랩스를 32억 달러에 인수한 데 이어 6월에는 인터넷 감시 카메라 업체인 드롭캠을 5억5000만달러에 사들였다. 구글은 최근에는 모바일 결제업체 소프트카드 인수를 발표하면서 플랫폼 분야 강화에도 나섰다.
인텔은 지난달 광대역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와 칩 등을 제조하는 독일의 란틱을 인수한데 이어 피트니스 밴드 및 스마트워치 스타트업인 베이직사이언스를 사들였다. 퀄컴은 지난해 7월 무선 칩셋 제조사 월로시티를, 10월에는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보유한 영국의 반도체 기업 CSR를 인수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한국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IoT 분야 M&A 대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월 미국의 개방형 플랫폼업체 스마트싱스를 인수했고 올해 1월에는 비접촉 검진 기술과 관련 센서로 알려진 헬스케어 분야 IoT 스타트업 이스라엘의 얼리센스에 20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글로벌 IT기업들은 막대한 현금 보유를 하고 있기 때문에 올해도 M&A 열풍은 계속될 전망이다. 현금 보유량은 애플이 1590억 달러, 마이크로소프트 830억 달러, 구글 575억 달러, 삼성전자 516억 달러, 시스코 471억 달러, 인텔 202억달러, 퀄컴 173억 달러 등이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구글·인텔·삼성 ˝사물인터넷 시대,기업을 흡수하라˝
입력 2015-03-10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