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7개 도시재생 선도지역 선정… 2018년까지 1조3천억 투입

입력 2015-03-09 12:00

서울시가 27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선정해 2018년까지 공공인프라 구축 등에 1조3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또 종전의 뉴타운 개발 등 일률적인 전면철거 방식이 아니라 계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에 주민이 주축이 되어 해당 지역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도록 맞춤형 재생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9일 이 같은 내용의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발표했다. 이는 민선 6기 박원순 서울시장의 핵심 정책인 ‘도시재생’ 사업의 기본 추진 방향과 실행 방안을 담은 최초의 종합 재생계획이다.

시는 지역 특성과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해 27개 선도지역을 쇠퇴·낙후 산업지역(3개소), 역사·문화 자원 특화지역(12개소),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5개소), 노후주거지역(12개소)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쇠퇴·낙후 산업지역 가운데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중고차 매매단지 일대 등 3곳이 1단계 사업대상으로 선정됐다. 용산전자상가나 온수산업단지 등 준공업지역 등에 대해서는 기본계획 수립이후 공감대 조성 등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역사·문화자원지역은 세종대로,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 예장자락, 당인리발전소, 낙원상가 돈화문로, 돈의문 일대 등 7곳이 우선 재생된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은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국제회의·인센티브관광·컨벤션·전시회(MICE),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곳에서 재생 사업이 우선 추진된다.

노후주거지역은 뉴타운 해제지역 등 12지역이 1단계 사업대상으로 선정됐다. 구체적으로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지역과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가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12곳이다. 아울러 이미 추진중인 주거환경관리사업에 대해서도 새로운 모델로 전환시켜 가기로 했다.

시는 이를 통해 뉴타운 대안으로 신개념의 노후주거지 재생모델을 정립해 확산시킬 계획이다. 여전히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뉴타운 지역 가운데 사업이 추진 가능한 구역은 융자금액 확대 등 공공지원을 강화하고, 갈등정체구역은 코디네이터 파견 등을 통해 갈등해소를 지원하는 한편 추진곤란구역은 비용증가, 갈등증폭 방지를 위한 특별대책 강구 등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존 정비사업은 경기침체 여건 등을 고려해 임대주택매입비용 현실화, 융자한도 증액, 이자율 인하 등 활성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신규 정비사업은 종전의 무분별한 예정구역 제도를 폐지하고 꼭 필요한 지역만 신중하게 선정하되 일단 지정되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공공의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선도사업을 위해 4년간 마중물사업에 1조30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아울러 서울시 투자기관인 SH공사를 재생사업 실행을 위한 전문기관으로 지정하고 시와 별도로 재생사업에 추가적으로 1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런 맥락에서 SH공사는 동북권의 중요한 광역거점 복합개발사업인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조성을 위한 1단계 붐업사업에도 시행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