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하나님의 존재는 증명될 수 있는가? 중세의 유명한 스콜라 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신의 명저 신학대전(Summa Theologiae)에서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다섯 가지 논증(quinque viae)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것을 꼽는다면, 운동으로부터의 논증(via ex motu) 또는 능동인으로부터의 논증(via ex causa)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들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무언가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 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다른 어떤 것이 원인이 돼 그 결과로 존재한다. 그런데 그 움직이게 하는 원인을 역으로 무한대로 찾아가다보면 결국 자신은 다른 무언가에 의해서 움직여지지 않으면서 다른 것들을 움직이게 만드는 최초의 원인이 있다고 가정해야 하고, 자신은 다른 것이 원인이 돼 발생한 결과가 아니면서 다른 것의 원인이 되는 최초의 존재를 가정해야 하는데 바로 그 부동(不動)의 동자(動者·unmoved mover) 또는 첫 번째 원인(the first cause)이 바로 신이라는 논증이다.
이러한 논증이 신의 존재를 믿는 자들에게는 확고한 논증으로 비쳐지겠지만,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람들에게는 별로 먹혀드는 것은 아니다. 회의론자들은 개념으로부터 존재를 논증하는 것 자체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가 논리적으로 즉 이성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우리의 머리보다 더 크기 때문에 우리의 제한된 머릿속으로 다 집어넣어 이해하려는 시도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믿음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아무런 증거가 없는 것 같아도 믿을 수 있는 그런 믿음 말이다. 성경에 등장하는 믿음의 사람들은 아무런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손으로 아무것도 만져지지 않는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을 믿었다. 아브라함은 가나안 땅을 얻게 될 것이며 그 자손이 하늘의 별과 같이 많아질 것이라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었다. 비록 아브라함에게는 아무런 증거가 없었지만 말이다. 그는 가나안에 한 평의 땅도 얻지 못한 상태였고 많은 하늘의 별과 같이 많은 후손들은커녕 피붙이 하나도 낳지 못한 상태였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약속을 하셨고, 그 약속을 아브라함은 믿었다. 그리고 하나님은 아브라함의 믿음을 그의 의로 여기셨다.(창세기 15장 6절)
아무런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믿었던 아브라함이 어리석은 사람이었는가? 아마도 어떤 사람은 그렇게 비난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게 비난하는 사람도 이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아무런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것을 믿으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아는가? 사실 우리가 증거를 얻어야만 믿을 수 있다면 우리는 아무 것도 믿을 수 없고, 데카르트처럼 오로지 의심하고 있다(cogito)는 사실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증거가 없는 것을 믿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 아니다. 우리는 어차피 증거가 없고 불충분한 상태에서 믿고 살아야하기 때문이다. 어리석은 것은 증거가 없는 것을 믿기 때문이 아니라, 믿지 말아야 할 것을 믿는 것이다.
이국진(사진) 목사
증거가 없기 때문에 하나님을 믿을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더 증거가 없는 것들을 철석같이 믿고 산다는 것은 아이러니이다. 사람들은 돈이 자신을 행복하게 해줄 것이라고 믿고 산다. 지금까지 돈으로 행복해진 사람이 단 한 사람도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막연히 돈이 나를 행복하게 해줄 것이라 믿고 거기에 자신을 바친다. 결과는 비참함뿐이다. 그들은 단 한 번도 돈이 나를 행복하게 해줄 것이라는 것에 대해서 의심을 해보지 않고 무턱대고 믿는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었다. 그런데 그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배반하지 않으셨다. 증거를 하나도 보여주지 않은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 믿음의 눈으로 바라본다면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은 온 세상에 널려있다. 어머니의 사랑은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지만, 여기저기에 어머니의 사랑이 널려 있는 것처럼 말이다. 아침 밥상에서 우리는 어머니의 사랑을 느낄 수 있고, 따뜻한 말 한 마디에서 우리는 어머니의 사랑을 발견할 수 있고, 우리가 집에 들어오기까지 기다리시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우리는 어머니의 사랑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을 증명하라고 한다면 내가 어떤 방식으로 증명할 수 있을까? 논리적 증명은 불가능하지만 것은 어머니가 나를 사랑한다는 사실이 확실한 것처럼, 하나님은 존재하시며 우리를 사랑하고 계심은 확실하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목회자칼럼]대구남부교회 이국진 목사 "신 존재의 증명과 믿음"
입력 2015-03-09 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