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약 5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새정치민주연합 일각에서 야권연대를 고민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원칙 없는 야권연대는 없다’는 명확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의 야권후보 난립, 텃밭 광주의 불안이라는 속사정 때문에 연대 가능성을 조금 열어두는 분위다.
양승조 사무총장은 8일 야권연대와 관련해 “정치는 생물이라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만큼 ‘100% 없다’라고는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박지원 의원 역시 트위터를 통해 “야권의 승리를 위해 절대 좋은 발언”이라며 두둔하고 나섰다.
새정치연합은 오는 14일 경선을 통해 서울 관악을, 경기 성남중원, 광주 서을 후보를 결정할 예정이다. 문제는 이대로 선거를 치를 경우 3곳 모두 야권 후보가 최소 2~3명씩 된다는 것이다. 정의당은 서울 관악을과 광주 서을 후보를 확정했고, 경기 성남중원에서도 후보를 찾고 있다. 신당을 추진 중인 국민모임은 오는 22일 창당준비위 출범에 앞서 후보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옛 통합진보당도 출마를 준비 중이다.
종북 프레임에 갇힌 통진당과의 연대는 고려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정의당, 국민모임과 어떻게 관계를 설정할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정의당과 국민모임은 상호 간에 후보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 둔 상태다.
새정치연합 핵심관계자는 보궐선거 목표와 관련해 “광주 서을과 서울 관악을에서 승리하면 선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해 새정치연합이 광주 서을이나 서울 관악을에서 패하면 새 지도부의 스텝이 크게 꼬인다. 가장 큰 고민은 천정배 전 의원이 9일 광주 서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탈당한다는 사실이다. 새정치연합은 광주 서을을 확실히 단속하고, 서울 관악을에 총력을 다하는 게 가장 좋은 경우의 수이지만 천 전 의원의 탈당으로 물 건너갔다.
천 전 의원이 무소속으로 광주 서을에서 당선될 경우 정치적 후폭풍은 매우 크다. 이미 정동영 전 상임고문을 중심으로 한 국민모임이 전북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 중이다. 텃밭인 광주와 전북이 흔들릴 경우 새정치연합은 내년 총선까지 뒷문 불안에 시달리게 된다.
현재까지는 새정치연합이 야권 연대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 만일 새정치연합이 문 대표의 발언을 뒤집으면서까지 직·간접적인 야권연대에 나선다면 관악을 승리 때문이다. 그러나 관악을은 지난 19대 총선에서 야권 후보 2명이 나오는 3자 구도로 치러졌음에도 야권은 67%를 득표해 새누리당 후보를 이겼다. 서울 관악을에서 급변사태가 벌어지지 않는 한 새정치연합이 야권연대를 해봐야 득이 될 게 없다는 분석이다.
당 지도부 관계자도 “야권연대가 없다는 문 대표의 원칙이 확고하다”며 “현실적으로 야권연대의 실익도 별로 없다”고 말했다. 게다가 새정치연합이 광주서을을 노리는 천 전 의원이나 국민모임과 연대한다는 것은 모순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새정치연합 일각 야권연대 고민… 실익 없어 가능성 낮아
입력 2015-03-08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