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무원 시험 등 사회 여러 분야에서 여성들의 강세가 도드라진 가운데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성적이 뒤처지는 현상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보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7일 발간 예정인 최신호에서 ‘열등한 성(性)’이라는 제목으로 이 같은 분석을 전하고 과거에는 남학생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뒀지만 몇십년 후에는 역전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5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분석 결과 15세 학생들을 기준으로 남학생들은 수학만 여학생들보다 약 3개월 진도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과학은 비슷하지만 독해에서는 여학생들에 크게 뒤처졌다.
2012년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 65개국의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 조사 결과 여학생이 전체적으로 남학생보다 성적이 약 1년 앞선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과락할 가능성이 50% 더 높았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한국의 경우 이런 격차가 더 도드라졌다. 독해와 수학, 과학 3과목 가운데 1과목 이상 기준 이하 성적을 받은 학생 성별을 보면 OECD 평균은 남학생이 61%, 여학생이 39%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은 이 비율이 남학생 66%, 여학생 34%로 OECD 평균보다 더 벌어졌다.
이렇게 차이가 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코노미스트는 생활과 학습 태도 등 다방면에서 원인을 찾았다. 조사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평균 1시간 더 많은 주당 5시간30분 공부를 하는 반면 남학생은 비디오게임과 인터넷 서핑에 여학생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미로 책을 읽는다’고 대답한 비율은 여학생의 경우 4분의 3에 이르지만 남학생은 절반도 채 안 됐다.
학습 태도에서도 분명한 차이가 났다. ‘학교 수업은 시간낭비’라고 답한 비율은 남학생이 여학생의 배에 이른다. 남학생들이 학교를 멸시하는 것은 과거 교육받지 않은 남성들도 일할 수 있는 일자리가 많았기 때문이었지만 이제는 옛말이 됐다고 이코노미스트지는 진단했다.
늦은 결혼과 출산율 하락 등의 요인이 역으로 여성에게는 고등교육의 기회를 넓혀줬으며, 과거에 비해 기혼 여성의 취직은 쉬워지면서 경제적 자립도 높아졌다는 사회 변화가 이런 흐름을 유도하고 있다고 이 잡지는 분석했다. 과거 여대생이 드물었던 시절에는 여성이 장차 주류를 이루려면 시간이 꽤 오래 걸릴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런 생각도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밤낮없이 일해야 하는 대기업 경영자나 변호사, 의사, 금융인, 정치인 등 남성 점유 직종도 사회적 성취를 갈망하는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이렇게 사회와 고용 구조가 바뀐다면 앞으로 여성보다는 교육을 받지 못해 특별한 기술이 없는 남성이 고통을 겪을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내다봤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남학생들 여학생들보다 이제 공부 못한다"
입력 2015-03-06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