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사 테러] 정부, 초긴장 상태 회의 거듭… 박 대통령 UAE서 긴급회의

입력 2015-03-05 20:43

박근혜 대통령은 5일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사건 직후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현지에서 윤병세 외교부장관 등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청와대도 김관진 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회의를 열어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미 양국은 이번 사건이 동맹 관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청와대·정부 초긴장 상태 긴급회의 거듭=주철기 외교안보수석은 박 대통령 중동순방 수행중 별도의 브리핑을 갖고 “상황을 보고받자마자 (박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윤 장관과 박흥렬 청와대 경호실장 등 외교안보라인 관계자들과 긴급 대책 협의를 했다”고 말했다. 주 수석은 “이 과정에서 서울의 이병기 비서실장, 김 안보실장과도 긴밀하게 협의해 필요한 조치를 취했다”고 덧붙였다. 김관진 실장도 오후 청와대에서 긴급 NSC 상임위를 열어 향후 대책과 대응 조치를 논의했다.

앞서 정부는 오전 10시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차관회의를 소집해 관계부처별 대응·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 조태용 외교부 1차관, 김주현 법무부 차관, 이성호 국민안전처 차장, 강신명 경찰청장 등 주요 부처 차관이 모두 참석했다.

정부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 신변보호 책임자를 조사해 엄벌키로 결정했다. 경찰청과 국민안전처는 즉각 외교사절 신변보호를 강화하고 대사관 등 외교시설 및 국가기반시설 등 주요시설에 대해서 안전·경비를 점검키로 했다. 리퍼트 대사와 부인에게는 영어가 가능한 근접경호 인력 7명이 추가 배치됐다. 외교부도 한미관계 영향이 없도록 주한 미대사관, 주미 한국 대사관 등 다양한 채널을 동원해 사건경위와 대응상황을 미국 정부 측에 상세히 설명했다.

윤 장관은 리퍼트 대사 앞으로 위로전을 보내고 위문품 및 꽃바구니를 전달했다. 조태용 외교부 1차관도 리퍼트 대사가 안정을 찾는 대로 병문안할 계획이다.

◇한·미관계 영향 최소화 위해 모든 노력 총동원=외교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한·미 동맹 관계에 불똥이 튀지 않도록 가능한 외교채널을 총 동원했다.

외교부는 오전 11시 노광일 대변인 명의 성명을 발표하고 “외교 사절에 대한 가해 행위는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으며, 특히 우리의 가장 중요한 동맹국인 미국의 대사에 대해 자행됐다는 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안호영 주미 한국대사와 조현동 주미대사관 공사가 사건 직후 미국에서 각각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성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겸 동아태 부차관보와 접촉해 유감을 표명하고 사실 관계를 설명했다”며 “이번 사건이 불필요하게 정치적 이슈로 비화해 한미동맹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되며 양국이 이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신재현 외교부 북미국장도 오전 주한 미국대사관 정무담당 공사참사관과 서너 차례 통화하며 같은 취지의 대화를 나눴다고 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통화 내용을 설명하며 “미국 국무부가 해명했지만 웬디 셔먼 정무 차관의 발언이 오해를 사고, 다시 이런 사건이 생기면서 한미 동맹 관계에 부정적인 인식·오해가 확산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한미 양국이) 공유했다”며 “이것이 양국 내에서 확산되지 않도록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도 의견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측이 이 사건은 한미 관계 등 여타 문제와는 관계가 없는 ‘아이솔레이티드 인시던트(isolated incident·단발 사건)’라고 했다”며 “관련한 공공 메시지를 함께 잘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미국 측은 또 우리 정부가 사건 직후 신속히 정보를 공유하고 관련 조치를 취하고 있는데 대해서도 사의를 표명했다고 한다.

전웅빈 조성은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