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일본에 역사인정하고 미래 동반자로 가자”

입력 2015-03-01 14:02

박근혜 대통령은 3·1절 제96주년인 1일 “일본은 용기 있고 진솔하게 역사적 진실을 인정하고 한국과 손잡고 미래 50년의 동반자로서 새로운 역사를 함께 써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3·1절 기념식에서 “과거 독일과 프랑스가 갈등과 반목을 극복하고 새로운 유럽 건설의 주역이 될 수 있었던 것과 같이, 이제는 보다 성숙한 미래 50년의 동반자가 돼 새로운 역사를 함께 써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 언급은 일본 정치지도자들에게 역사인식 개선을 촉구하면서 광복 70주년,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아 한·일 관계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이 한·일 관계 개선의 대전제라는 점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할머니들의 인권문제를 “반드시 풀고 가야할 역사적 과제”라고 규정한 뒤 “올해 들어서도 벌써 두 분의 피해 할머니들이 평생 가슴에 맺힌 상처를 치유받지 못한 채 돌아가셔 그 분들 명예를 회복시켜드릴 수 있는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북한에 대해서도 남북대화에 나올 것을 거듭 촉구했다. 아울러 이산가종 상봉과 서신교환, 스포츠·문화 교류와 민생협력, 남북철도 복원 등과 관련한 협의에도 진정성 있는 자세로 나설 것을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분단 70년을 또다시 반복할 수는 없고, 평화통일을 이뤄냄으로써 진정한 광복을 완성하고 민족의 번영을 위한 항해에 적극 나서야 할 때”라며 “북한은 더 이상 남북대화를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통일 준비는 결코 북한을 고립시키는데 목표가 있는 것이 아니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나와 공동 번영과 평화의 길로 가도록 하는데 있다”며 “진정성있는 대화와 변화의 길로 들어선다면 모든 협력의 길이 열려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남북한은 역사 공동연구에 착수할 수 있을 것이고, 60여년 간 단절된 남북 철도운행 재개를 위한 철도 복원사업 등 남북 공동 프로젝트를 협의해서 추진하는 것도 모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는 사전준비의 일환으로 우선 남북철도의 남측 구간을 하나씩 복구하고 연결하는 사업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