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방경찰청이 의료사고 수사 전담팀을 꾸렸다. 광역수사대에 의료수사팀을 신설해 관련 사건을 직접 수사하고 관할 경찰서 수사도 지원키로 했다.
경찰이 의료수사 전문화에 나선 것은 신해철씨 사망사건이 계기가 됐다. 의료과실 논란이 일면서 사건이 장기화하자 향후 유사한 사건의 수사력을 강화하려는 것이다.
서울지방경찰청은 1일 앞으로 일선 경찰서는 의료과실 관련 사건을 접수하면 이를 광역수사대 의료수사팀에 알리도록 의무화했다고 밝혔다. 의료수사팀은 상해 정도나 사회 이목 집중 여부 등 경중을 따져 직접 수사 여부를 결정한다.
의료수사팀은 사망이나 뇌사 등 중상해가 발생하거나 신해철씨 사건처럼 이목이 쏠렸을 경우, 수사관과 검시관 3명으로 구성된 수사팀을 현장에 급파해 부검과 증거확보 등 초동수사를 함께한다. 초동수사에 이어 사안이 중할 경우에는 사건을 직접 수사하고, 그렇지 않으면 일선서의 수사를 지원하게 된다.
피해자의 상해 정도가 가벼울 땐 일선서에 의료차트분석이나 법리검토 등의 지원을 하고, 필요에 따라 현장 지원을 한다. 하지만 수사 도중 언제라도 직접 수사 체제로 전환할 수 있게 했다.
의료수사팀은 수사관 7명, 검시조사관 1명 등 8명으로 구성됐다. 또한 과학수사계에서 근무 중인 의료 경력이 있는 경찰관이나 검시조사관의 인력 풀을 별도 관리해 사안에 따라 수사를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찰병원과의 자문·협력체제를 만들고,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 관련 외부 기관·단체와의 협력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경찰은 전담팀 신설 이외에도 의료 관련 교육 이수 등의 방침을 마련해 전문 수사 시스템을 정착시킬 계획이다.
임지훈 기자 zeitgeist@kmib.co.kr
서울경찰 ´신해철 사망´ 계기 의료사고 수사팀 꾸린다
입력 2015-03-01 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