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은행 저축성 예금 증가율이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 해 말 현재 가계가 예금은행에 돈을 맡긴 총예금액은 530조5398억원으로 1년 전보다 5.7% 늘었다. 그러나 총예금액 중 저축성 예금은 482조2933억원으로 4.9% 증가에 그쳤다. 돈을 은행에 맡겨놓고 수시로 빼 쓰기 위한 요구불예금(48조2465억원)은 15.0%나 늘었다.
은행 저축으로 이자를 얻는 것보다 은행 금고에 잠시 돈을 맡겨둔 뒤 다른 투자 기회를 노리는 대기성 자금의 최근 증가세를 반영하고 있다.
가계의 은행 저축성 예금 증가율도 2007년(-6.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저축성 예금의 증가율은 2008년 12.3%에서 2009년 9.7%, 2010년 16.0%로 상승세를 이어오다 2011년 9.4%, 2012년 6.2%, 2013년 5.5% 등 4년 연속 둔화했다.
이 같은 현상은 사상 최저 행진을 지속하는 저금리 때문으로 보인다.
정기예금 금리가 연 2%를 갓 넘기 때문에 가계는 투자수단으로 은행의 저축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줄어들었다.
한편 예금은행의 가계 대출은 작년 말 현재 515조6368억원으로 직전 해 같은 기간 481조1313억원보다 8.0%나 늘어 가계의 저축 증가율을 훨씬 웃돌았다. 그 중 주택담보대출(365조5천796억원)은 직전 해(328조9천231억원)보다 11.1%나 증가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저금리 때문에... 가계의 은행 저축 증가율 7년만에 최저
입력 2015-03-01 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