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에 임명된 김성우 대통령 사회문화특별보좌관은 정치부 기자 출신이다. 방송사와 신문사에서 30년간 기자 생활을 했다. 전두환·노태우 정권 시절인 1983~1989년 청와대 공보비서관을 지낸 김성익씨가 친형이다. 형제가 모두 대통령의 ‘입’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정무특보에는 새누리당 주호영·윤상현·김재원 의원을 임명했다. 이들 ‘특보 3인방’은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을 잘 이해하고 있는 만큼 당청 및 여야 관계에서 윤활유 역할을 더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됐다. 이들은 임명 이후 “가교 역할을 제대로 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윤·김 특보는 모두 친박(친박근혜) 핵심으로, 비박(비박근혜) 당 지도부와 균형추를 맞추려는 카드로도 분석됐다. 주 특보는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이명박 후보 비서실장을 맡아 친이(친이명박)계로 분류되지만 당 정책위의장과 국회 공무원연금개혁특위 위원장 등을 맡아 정부 핵심 과제를 뒷받침해왔다.
윤 특보는 2002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정책특보를 맡았다. 2007년 대선후보 경선과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도왔고 당 사무총장과 원내수석부대표, 대변인 등을 거쳤다.
김 특보는 이완구 원내대표 체제에서 원내수석부대표로서 대야 협상을 주도하는 등 당내 ‘전략가’로 꼽힌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박근혜 후보 캠프의 기획단장과 대변인을 맡았다.
홍보특보에 임명된 김경재 전 의원은 2012년 대선에서 국민대통합을 내걸고 박근혜 대통령의 당선을 도왔다. 1971년 당시 김대중 신민당 대선후보 선전기획위원으로 정치권에 발을 디딘 뒤 유신체제에서 민주화운동에 나서기도 했다. 미국에서 ‘박사월’이라는 필명으로 ‘김형욱 회고록’을 쓰기도 했다. 2002년 대선 당시 민주당 노무현 후보를 도왔으나 노무현정부 출범 이후 민주당 분당 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각을 세웠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27일 “당청, 여야 간 공식 채널이 있지만 워낙 국정 현안이 워낙 많고 복잡해 이를 잘 풀어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홍보수석, 정무·홍보특보 면면은…당청관계는 어떻게 될까
입력 2015-02-27 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