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다음 달 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우크라이나 휴전 협정 이행 방안을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26일(현지시간)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에 따르면 케리 장관은 전날 자국 하원 외교위원회에 출석해 연설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러시아 외교소식통도 신문에 미-러 외무장관 회담 계획을 확인하면서 중요 의제가 우크라이나 사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산발적 교전이 계속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선 전날 휴전 협정 발효 이후 처음으로 정부군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독일 등 4개국 정상은 지난 12일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우크라이나 동부 정부군과 반군 간 휴전협정을 이끌어 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지난 15일 협정이 발효한 이후에도 양측 간의 산발적인 교전이 끊이지 않으면서 협정이 무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정부군과 반군이 모두 민스크 협정의 중요 합의 사항인 중화기 철수에도 착수하면서 긴장의 수준은 낮아졌다.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부군 총참모부는 이날 성명에서 "민스크 휴전협정에 따라 오늘 100mm 구경 포부터 전선에서 철수시킨다"며 "중화기 철수는 전적으로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의 감시와 감독 하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은 그러나 반군의 공격 징후가 보이면 중화기 철수 일정은 수정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군은 이미 지난 17일부터 중화기 철수에 착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동부 루간스크주 분리주의 세력이 자체 선포한 ‘루간스크인민공화국' 정부 수장 이고리 플로트니츠키는 이날 "80%의 중화기를 철수했다"면서 "반면 정부군은 겨우 15~20% 정도의 중화기만을 철수했다"고 비판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 정부가 반군이 장악중인 돈바스(동부 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 지역에 대한 가스공급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대량학살' 시도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교전으로 가스관 안전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로 가스공급을 중단키로 한 우크라이나 측은 공급을 재개할 순 있지만 동부 지역으로 공급되는 양만큼의 가스 대금은 러시아 측에 지불하지 않을 것이라고 맞섰다.
이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돈바스 지역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로 직접 공급하는 가스도 60% 가까이 줄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양측 간에 가스 분쟁이 재점화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선불을 내지 않으면 가스공급을 완전히 중단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우크라이나에선 이번주 현지통화인 흐리브냐화 가치가 13%나 추락하는 등 경제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현지 중앙은행은 흐리브냐 가치의 추가 하락을 막기위해 시중 은행과 환전소들에 주말까지 일시적으로 외화 매입 금지령을 내렸다.
이날 달러당 흐리브냐 환율은 전날보다 약 2흐르브냐가 내린 30흐리브냐까지 상승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임세정 기자
우크라 사태 해법 찾나…미-러 외무 내달 1일 제네바서 회담
입력 2015-02-27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