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가 계속 운전하며, 오는 2022년까지 운전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월성1호기의 안전성 문제 등을 이유로 운전 정지를 주장해 온 경주 주민과 환경단체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무시한 일방적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후폭풍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이은철, 이하 원안위)는 27일 설계수명 30년이 끝나 3년째 가동이 중단된 원자력발전소 월성 1호기에 대해 2022년까지 운전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원안위는 26일 대회의실에서 상임·비상임위원 9명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이은철 위원장 주재로 제35회 전체회의를 열어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안)을 심의해 날짜를 넘긴 마라톤 심의 끝에 27일 새벽 재허가에 반대하는 김익중, 김혜정 위원 등 2명이 퇴장한 가운데 표결을 실시, 표결 참가 위원 7명 전원 찬성으로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허가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012년 가동을 중단한 월성 1호기를 2022년까지 계속 운영할 수 있게 됐다. 한수원은 재가동 준비를 거쳐 4월쯤 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날 심의와 표결 과정에서 계속운전 찬성측과 반대측이 강력하게 맞서며 대립했고, 표결이 반대 측 위원 2명이 퇴장하고 정부·여당 추천으로 위촉된 7명만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돼 향후 원안위 운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 야당 의원들과 경주시민, 민간검증단 등이 이날 일방적 표결로 마무리된 심사 결과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향후 절차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지는 미지수다. 일부에서는 월성1호기에 대한 원안위 심사 결과에 대한 무효를 주장하는 소송 제기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다.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한 월성 1호기는 설비용량 67만9000㎾인 중수로 원전으로 1983년 4월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2012년 11월, 30년의 설계수명이 만료돼 가동이 중단된 이후 계속운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을 중심으로 안전성 심사가 진행됐다.
민태원 조민영 기자 twmin@kmib.co.kr
월성1호기 2022년까지 계속 운전...환경단체 "지역민 의사 무시" 강력 반발
입력 2015-02-27 08:30 수정 2015-02-27 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