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6년 만에 직원 임금을 동결한다.
2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노사협의회는 최근 올해 연봉을 인상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삼성전자가 임직원 임금을 모두 동결한 것은 2009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실적악화와 올해 경영환경을 낙관할 수 없는 위기상황이라는 판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예측할 수 없는 경제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내부경쟁력부터 확고하게 다져야 한다는 점에 노사가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성과에 따른 임금인상률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실제 직원들 손에 쥐어질 임금은 작년보다 소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연봉제 직원은 고과에 따라 임금이 0∼7%(평균 2.3%), 비연봉제 직원은 2.2% 인상된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유치원비 지원연령을 기존 6∼7세에서 5∼7세로 늘리고, 휴직자에게도 전신암 검사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연구·개발(R&D)과 디자인 직군에만 적용해 온 자율출퇴근제도를 제조 직군을 제외한 모든 직군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장기휴가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10년, 20년, 30년차에 나오는 열흘치 장기근속휴가를 가지 않으면 연차를 삭감하는 등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예를 들어 10년차 직원이 근속휴가를 떠나지 않으면, 본인 휴가 일수 중에 7일치를 삭감하는 식이다. 20년차와 30년차 직원은 5일치 연차가 깎인다.
삼성전자는 대표이사 명의로 임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노사가 정말 많은 논의를 했으며, 사기 진작을 위해 노력 중이다. 최종적으로 임금이 동결됐지만 일부 복리후생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그룹은 2000여명에 달하는 전 계열사 임원의 급여를 동결하기로 했다. 다만 연간 실적에 따라 지급하는 성과인센티브(OPI)는 포함하지 않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9% 기본급을 인상했으며 2013년에는 5.5%, 2012년과 2011년에는 4% 안팎으로 각각 기본급을 인상했다.
삼성그룹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지난 2009년 2월 전 직원 임금을 동결한 바 있다.
이명희 선임기자 mheel@kmib.co.kr
“기업들 경영위기 심각” 삼성전자 6년 만에 임금동결
입력 2015-02-26 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