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색 발광다이오드(LED)가 개발된 뒤 상품화까지 10년이 걸렸습니다. 그리고 절전형 에너지가 되기까지 30년이 소요됐죠. 많은 사람이 매달려 연구했음에도 이 정도 걸린 것입니다.”
아마노 히로시(55·사진) 일본 나고야대 교수는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씨앗(Seed·핵심) 연구는 바로 성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걸린다”며 “끝까지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마노 교수는 1980년대부터 스승 아카사키 이사무 교수와 함께 청색 LED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잘 알려진 반도체공학자다. 지난해 아카사키 교수 등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는 1986년 푸른빛을 내는데 필요한 질화갈륨(GaN)의 결정성장에 성공해 기존의 적색·녹색에 이어 청색 LED 시대를 열었다. LED에서도 ‘빛의 삼원색’인 적색·녹색·청색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해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백색 LED를 개발하는 토대가 됐다.
아마노 교수는 핵심 연구에는 산학 협력, 연구비 지원, 국제 연구교류가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젊은 연구자들에게 ‘자기가 해야 할 일을 생각하고 그것에 전력으로 임하라’고 꼭 말해주고 싶다”고 강조했다.
임지훈 기자 zeitgeist@kmib.co.kr
노벨상 아마노 히로시 교수 “핵심연구에는 시간걸려…연구 지속체제 중요”
입력 2015-02-26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