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 맞아 강익록 선생 등 애국지사 186명 포상

입력 2015-02-26 13:53

국가보훈처는 제96주년 3·1절을 맞아 강익록 선생 등 186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132명, 건국포장 23명, 대통령표창 31명이다.

훈·포장과 대통령표창은 3·1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수여된다.

보훈처는 일제의 각종 행형기록 및 정보문서, 신문보도 기사의 분석, 검토와 적극적인 현지조사를 통해 이번에 178명의 독립유공자를 새로 발굴, 포상하게 됐다.

일제 경찰관주재소를 공격하다 체포돼 무기징역을 받고 옥고를 치른 강익록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1924년 12월 대한통의부 소위 이진무와 함께 평북 선천군 남면의 삼봉주재소를 공격해 일본인 순사에게 중상을 입히고 창고를 불태우는 등의 투쟁을 벌이다 체포되어 16년의 옥고를 치렀다.

경북과 강원도 일대에서 일제 침략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자들을 처단, 응징하고 군자금을 모집한 박진양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다. 박 선생은 1909년 경북 영천과 예천에서 동지들과 일진회원을 처단했다. 같은 해 12월 강원도 평창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받고 11년의 옥고를 치렀다.

한국과 중국, 러시아 접경지역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국내 진입작전을 전개하다 체포된 박의동 선생과 중국을 무대로 항일 의열투쟁을 벌인 정종화 선생에게도 건국훈장 애국장이 각각 추서된다.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애국지사는 1949년 포상이 시작된 이래 건국훈장 1만246명, 건국포장 1091명, 대통령표창 2593명 등 총 1만3930명에 이른다.

보훈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독립기념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지방자치단체, 문화원 등과 사료수집 협조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고 국외 소장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알려지지 않은 독립유공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