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으로 한푼이 아쉬워서일까. 경기 상황과 반대로 움직이는 동전 환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동전 환수율은 1980년대 중반 현행 6종의 주화체계가 정착되고서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카드대란,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빼고는 꾸준히 하락했으나 최근 3년간은 아주 조금씩 상승하면서 금융위기 때 수준으로 높아졌다.
장기 저성장으로 상징되는 최근 몇 년간의 경기 부진으로 살림살이에 쪼들리다가 저금통이나 책상 서랍 속에서 잠자는 동전에까지 눈길을 돌려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은행이 최근 펴낸 ‘우리나라의 화폐’를 보면 작년말 현재까지 동전(기념주화 제외)의 누적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22.3%로 3년째 상승세를 지속했다.
2011년말 21.8%에서 20012년말 22.1%, 2013년말 22.2%에 이은 상승세로, 작년말까지 환수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성장률이 급락해 0.7%에 그친 2009년 말의 22.3%와 같은 수준이다.
한은이 집계한 누적 환수율은 500원 동전 도입으로 현 주화체계가 시작된 1982년 이후 발행된 동전 금액과 한은 금고로 돌아온 동전 금액을 비교한 것으로 작년 말까지 누적 발행액은 2조7164억원이었고 누적 환수액은 6048억원이었다.
한은은 일정 기간의 환수율보다는 누적 환수율이 화폐 이용 추이를 더 잘 반영한다는 견해를 보여왔다 .
이와 관련, 한은 내부에서도 다양한 해석들이 나오고 있다. 한 한은 관계자는 “동전 환수율로 현 경기 상황을 판정내리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양극화된 사회에서 어려운 서민 경제를 반영한다고는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저금통 속 한푼이 아쉬워서… ” 동전 환수율 금융위기 후 최고
입력 2015-02-25 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