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파 밑 동전까지 박박…동전 환수율 금융위기후 최고

입력 2015-02-25 07:25
동전 환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시중은 서랍 속, 소파 밑 동전 한푼이라도 아쉽다는 이야기다.

25일 한국은행이 최근 펴낸 ‘우리나라의 화폐’ 책자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동전(기념주화 제외)의 누적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22.3%로 3년째 상승세를 지속했다. 2011년말 21.8%에서 20012년말 22.1%, 2013년말 22.2%에 이은 상승세로, 지난해 말까지 환수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성장률이 급락해 0.7%에 그친 2009년 말의 22.3%와 같은 수준이다.

한은이 집계한 누적 환수율은 500원 동전 도입으로 현 주화체계가 시작된 1982년 이후 발행된 동전 금액과 한은 금고로 돌아온 동전 금액을 비교한 것으로, 지난해 말까지 누적 발행액은 2조7164억원이었고 누적 환수액은 6048억원이었다.

한은은 일정 기간의 환수율보다는 누적 환수율이 화폐 이용 추이를 더 잘 반영한다는 견해를 보여왔다.

문제는 500원 동전 등 현행 6종의 주화 체계가 자리를 잡고 환수율이 1985년말 41.2%로 정점을 찍은 뒤에는 외환위기 등 한국 경제의 위기 때를 빼고는 그동안 반등한 적이 없다는 점이다.

나상욱 한은 발권국장은 "경기가 나쁘면 동전까지 탈탈 털어서 쓰는 만큼 집에 사장돼 있던 동전들이 은행을 거쳐 한은 창고로 더욱 많이 환수되는 게 일반적"이라며 "다만, 이번에는 상승폭이 크지 않아서 경기와 연결지어 판단하기는 좀 어렵다"고 말했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선정수 기자 js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