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대전 종전 70주년인 올해 들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측근들이 잇따라 전후질서에 도전하는 듯한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다. 아베 총리가 ‘차기 여성 총리감’으로 평가했던 이나다 도모미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이 자신의 정치자금 모금행사에서 일본인 A급 전범을 단죄한 극동군사재판(이하 도쿄재판)을 부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고 교도통신이 24일 보도했다.
이나다 정조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도쿄재판에 대해 “판결 주문은 받아들이지만 (판결의) 이유에 대한 판단까지 구속될 까닭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도쿄재판에서 사고가 정지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손으로 (역사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도쿄재판을 직접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도쿄재판이 승전국에 의한 ‘정치적 단죄’라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앞서 아베 총리의 또 다른 핵심 측근인 하기우다 고이치 자민당 총재 특별보좌관은 지난 11일 아베 총리의 지역구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서 열린 강연에서 “일본에서는 국회의 결의에 의해 전범 명예가 회복됐으며 (전범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도 총리 재임 중인 2013년 3월 도쿄재판에 대해 “연합국 측이 승자의 판단에 따라 단죄했다”고 발언해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2차대전 종전 이듬해인 1946년 1월 설치된 극동군사재판소는 도조 히데키 등 전쟁 수행의 핵심 관계자 25명을 유죄로 인정해 7명에게 사형, 16명에게 종신형, 1명에게 금고 20년, 다른 1명에게 금고 7년을 각각 선고했다. 일본은 도쿄재판을 받아들이는 것을 전제로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독립국의 지위를 회복할 수 있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아베 측근들 잇달아 ‘전후질서’ 흔드는 발언
입력 2015-02-24 2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