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치매 어르신을 돌보는데 하루 평균 9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절반 이상은 교대할 사람이 없어 혼자서 치매어르신을 돌보다보니 건강상태가 매우 나빠져 돌봄 가족을 위한 다양한 지원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서울시가 지난해 6월~8월 치매어르신을 돌보고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해 24일 발표한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등록 치매 어르신 관리현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가치매 어르신은 여자가 66.1%로 남자보다 많았고 평균 연령은 80.8세였다. 동거형태는 배우자 없이 가족과 함께 사는 경우가 34.6%, 배우자와 동거는 30.5%, 배우자 및 다른 가족과 동거는 19.4%, 독거 13.8% 순이었다.
치매 어르신을 주로 돌보는 가족은 배우자가 39%로 가장 많았고 딸(23.6%), 아들(14.6%0, 며느리(12.9%) 순이었다. 이 중 55%는 교대할 사람이 없어 혼자서 치매어르신을 돌보고 있으며 가족이 치매 어르신을 간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하루 평균 9시간에 달했다. 아울러 52%는 월평균 가구소득 대비 치매 어르신 돌봄 비용이 ‘부담스러운 편’이라고 응답했다.
치매 가족의 많은 수가 환자를 돌보기 위해 직장을 그만두거나 사회활동을 하지 못했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 지출로 경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부담감, 우울 증상, 건강관리 기회 감소 등의 문제를 호소했다. 특히 치매 어르신 돌봄 가족의 35.4%가 본인 건강상태에 대해 ‘매우 나쁘다’ 혹은 ‘나쁜 편이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치매어르신 가족은 ‘환자가 행복해 하면 기쁘다’라는 항목과 ‘치매어르신을 시설로 보내지 않고 끝까지 돌보고 싶다’라는 항목에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이는 가족이 치매어르신을 돌보는데 부담감을 느끼면서도 치매 어르신을 돌보아야 한다는 책임감과 환자의 행복감에 보람을 느끼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시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치매 어르신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 감소 및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 치매 진행 단계와 가족 특성을 고려한 개인별 맞춤형 통합 가족 프로그램 ‘희망다이어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등급 외 경증 치매노인 돌봄을 위한 ‘기억키움학교’를 지난해 5곳에서 올해 10곳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치매가족의 부담 경감을 위한 신개념 공공노인 요양원 3곳을 설치하고 데이케어센터를 지난해 248곳에서 올해 268곳으로 확대 설치하는 등 치매·요양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나갈 방침이다. 자세한 조사결과는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www.seouldementia.or.kr
) 치매정보-서울시 발간 연구보고서에서 받아볼 수 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가족이 치매환자 돌보는데 하루 평균 9시간 소요
입력 2015-02-24 1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