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이 낮을수록 유방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같은 여성암 사망률이 높으며 이같은 경향은 최근들어 더욱 심해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교육 불평등이 건강 불평등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팀은 2001년과 2006년, 2011년에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와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시기 등록된 25~64세 여성암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교육 수준에 따라 여성들의 암 사망률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최근 대한의학회지에 보고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기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 변화는 암종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에서 저학력 여성의 증가세가 뚜렷했다.
유방암의 경우 초등학교 이하 학력의 여성에서 2001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이 8.52명에서 2011년 21.9명으로 큰 폭으로 늘어난 데 비해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자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자궁경부암 역시 고등학교 이상인 경우 줄거나 소폭 상승한 데 그친 데 반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이하인 여성은 1.5배에서 3배까지 늘어났다.
이러한 차이를 ‘상대 불평등 지수’를 활용해 다시 분석한 결과 학력 편차에 따른 사망률은 보다 극명하게 갈라졌다.
‘상대 불평등 지수’는 초등학교 이하 학력 여성의 암사망률에 대한 대학교 졸업 여성의 암사망률 상대비로 계산했다. 이 지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학력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2001년 유방암의 상대 불평등 지수는 0.58이었으나 2011년 1.34로 급격히 증가했다. 최근들어 저학력 여성의 유방암 사망이 상대적으로 늘었다는 뜻이다.
자궁경부암의 상대 불평등 지수 또한 2.47(2001년)에서 3.77(2011년)로, 과거부터 최근까지 학력에 따른 차이가 지속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차이가 더 심해졌다.
난소암 역시 2001년 0.79에서 2011년 1.50으로 상대 불평등 지수 1을 넘겨 최근 들어 학력에 따른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송 교수는 “1999년 국가 암 조기검진사업 시행됐지만 아무래도 고학력층에 비해 저학력층의 암에 대한 관심과 정보 접근성이 낮은 게 원인”이라면서 “학력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위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암 예방 교육과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암도 학력 차별? ...학력 낮을수록 유방암 등 여성암 사망률 높다
입력 2015-02-24 10:00 수정 2015-02-24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