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높아지는 신입사원 나이… 30대 ‘미생’들 수두룩

입력 2015-02-23 09:49

30대 ‘미생’들이 수두룩하다.

구직 준비기간이 길어지면서 첫 취업 연령대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신입 지원자 10명 중 3명은 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은 지난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 379개사의 신입 지원자의 연령을 조사한 결과 30대의 비율이 평균 33%나 됐다고 23일 밝혔다. 채용한 신입사원의 평균연령이 전년대비 높아졌다는 기업은 44.1%였다.

나이 많은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것에 대해 전체 기업 2곳 중 1곳 이상(59.4%)이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기존 직원들이 불편해해서’(53.3%·이하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조직 위계질서가 흔들릴 것 같아서’(48.2%), ‘연봉 조건 등 눈높이가 높을 것 같아서’(35.8%), ‘업무지시를 잘 따르지 않을 것 같아서’(30.7%), ‘여태까지 취업을 못한 이유가 있을 것 같아서’(20.8%), ‘업무 습득이 느릴 것 같아서’(16.1%) 등이 있었다.

기업이 나이가 많다고 생각되는 기준은 남성은 평균 32세(4년제 대졸 기준), 여성은 30세였다. 기업 3곳 중 2곳(65%)에선 나이가 많은 지원자는 다른 조건과 관계없이 탈락시킨 적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신입사원의 연령 상승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서열, 호칭 등 갈등 야기’(41.2%, 복수응답), ‘신입사원 조기퇴사 및 이직 증가’(20%), ‘연공서열보다 능력중심 문화 정착’(18.2%), ‘직원 단합력 감소’(15.6%), ‘개인주의적 조직 문화 확산’(11.5%) 등 부정적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

연령 상승의 원인으로는 ‘너무 높은 취업 눈높이’(30.4%), ‘좋은 일자리 공급 부족’(13.7%), ‘구직자의 취업 양극화’(11.3%), ‘지나친 학력 인플레’(10.9%) 등을 들었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