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여당서 반란표" 대 새누리 "무기명 투표라 이탈표 알 수 없어"

입력 2015-02-16 16:41

여야는 16일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 투표 결과 드러난 표심을 놓고 엇갈린 해석을 내놨다.

새누리당은 전체 158명 의원 중 이 후보자와 구속 수감 중인 두 명의 의원을 제외한 15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재적 130명 가운데 124명이 참석했다. 여기에 정의화 국회의장과 유승우 의원이 무소속 신분으로 투표권을 행사했다. 정의당 소속 5명은 본회의에 불참했다.

새누리당은 개표 결과 찬성이 148표에 그치자 내심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수치만 놓고 보면 새누리당에서 무효표를 포함해 최소 7표 이상의 ‘반란표’가 나왔다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새정치연합은 당장 “야당에서 반란표는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표결 직후 새정치연합 박완주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새정치연합은 투표에 참여한 의원 전원이 확실하게 반대 의사를 표현했다”며 “오히려 새누리당 내에서 반대표가 나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자가 법적으로는 총리가 됐지만 정치적으로는 반쪽 총리에 그치게 됐다”고 평가했다.

새누리당은 “무기명 투표이기 때문에 이탈표가 얼마나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반박했다. 야당의 주장은 ‘새누리당은 모두 찬성, 새정치연합은 모두 반대’했을 경우를 전제로 할 때만 성립된다는 것이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임명동의안이 가결은 됐지만 반대표가 적지 않게 나왔다”며 “이 후보자는 반쪽 총리라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야당, 국민과의 소통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일각에선 새누리당에서 대거 이탈표가 나오고, 새정치연합에서 대거 찬성표가 나왔을 가능성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각 당의 반란표가 상쇄되면서 결과적으로 ‘148대 128’이라는 수치로 정리됐다는 해석이다.

새누리당의 한 당직자는 “야당 충청 의원들이 무효표를 던지고, 여당에선 9~10표의 반대표가 나온 것 같다”며 “친이계의 반발 등 계파 영향이라기보다는 의원 개인의 양심에 따른 선택으로 보인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