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이르면 17일 개각 및 청와대 개편

입력 2015-02-16 16:10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임명동의안이 16일 결국 처리됨에 따라 청와대 개편 및 개각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청와대는 이 후보자에 인준안 처리 과정 마지막까지 시시각각 국회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당초 지난 12일로 예정됐다 한차례 연기돼 표결에 부쳐진 만큼 인준안이 결국 처리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표결 막판까지 긴장감을 늦추지 못했다. 다만 최악의 경우 밤늦게까지 파행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던 것에 비하면 한결 원만하게 진행된데 대해 환영한다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총리 인준안이 일단 예상보다 순조롭게 처리돼 다행”이라며 “이제 개각 및 청와대 개편 절차에 나서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제 남은 것은 개각과 청와대 개편의 타이밍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신임 총리의 국무위원 제청 절차를 거쳐 17일 개각 및 비서실장 교체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여야 대치와 파행 속에 총리 인준안 처리가 막판까지 난항을 겪었다면 개각 등이 설 연휴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도 제기됐지만, 현재로선 설 연휴 직전인 17일이 가장 적절한 시기라는 게 청와대 내부 기류다. 이날은 박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날이다. 이 총리 후보자가 후보자 꼬리를 떼고 신임 총리 자격으로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각료 제청 협의 절차 후 개각 발표로 이어지는 게 자연스러운 모양새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새 총리가 국무위원 제청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차원에서 개각을 계속 미뤄왔다. 헌법의 기본원칙 준수는 물론 새 총리와의 소통을 보여준다는 측면도 고려됐다.

교체되는 부처 장관은 극히 제한적인 소폭 개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공석인 해양수산부 외에 많아야 1~2개 부처 장관을 교체하는 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해수부 외에 통일부, 국토교통부 등이 우선 교체 대상으로 거론된다. 다만 국무위원 제청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신임 총리와 협의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이 빠듯할 경우 개각은 설 연휴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순 없다.

박 대통령은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후임 인선을 놓고 상당기간 고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기춘 실장은 개각 및 청와대 개편과 동시에 퇴진할 예정이다. 여권 내에서는 권영세 주중대사,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 김병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등의 이름이 계속 오르내리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거론되지 않았던 인사의 발탁 가능성도 남아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