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안보리, '정부전복' 예멘사태 결의안 추진

입력 2015-02-15 21:07
연합뉴스 제공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시아파 반군 후티의 정부 전복으로 정정 불안이 심화되는 예멘에 대해 결의안을 추진중이라고 15일(현지시간)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결의안 초안엔 후티에 ‘무조건적이고 즉각적인' 병력 철수와 가택연금한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과 내각의 석방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으나 강제 제재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중 서방의 경제제재를 받는 러시아는 대(對)예멘 제재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안보리는 지난해 11월 미국의 요청에 따라 알리 압둘라 살레 전 예멘 대통령과 후티의 지역 사령관급인 압둘라 야흐야 알하킴, 압드 알칼리크 알후티 등 개인에 대한 비자 발급 금지와 자산 동결 등의 제재안을 가결했다.

걸프지역 6개국으로 구성된 걸프협력이사회(GCC)는 14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긴급 외무장관 회의를 열어 정부를 전복한 후티에 대한 강제제재를 유엔에 촉구했다.

GCC 외무장관들은 이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평화를 위협하거나 파괴·침략행위에 대해 대응을 규정한 유엔헌장 7장에 따라 (예멘에 대한 조치를) 결의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유엔헌장 7장은 안보리가 자체 결정을 집행하기 위한 비군사적 경제제재(41조)와 이를 전제로 군사적 제재(42조)를 취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이 조항은 북한 핵실험과 이란의 핵무기 개발 의혹에 대한 유엔의 제재 근거가 됐다.

이들은 또 아랍연맹과 이슬람협력기구(OIC) 등 국제기구에 예멘 사태와 관련, 긴급회동을 요청하고 후티의 무력압박에 지난달 사퇴한 하디 대통령과 내각의 안전을 국제사회가 즉시 개입해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교적 안정된 수니파 왕정인 GCC 6개 회원국은 후티의 세력 확장을 이란의 걸프지역 교두보로 보고 경계해왔다.

예멘에선 후티가 정부를 전복한 뒤 생겨난 권력 공백의 틈을 타 수니파 세력의 공세가 본격화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고조하면서 내전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14일(현지시간) 예멘 중부 바이다 주(州)에서 예멘 정부군과 손을 잡은 후티 부대와 수니파 부족 소속 민병대의 충돌로 양측에서 최소 26명이 죽었다.

예멘 중부 수니파 부족은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지부(AQAP)와 연계돼 후티의 세력확장에 맞서고 있다.

앞서 전날 AQAP 무장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 일당이 오토바이를 타고 남부 라히즈 주의 정부군 기지를 공격, 공군 조종사 1명을 사살했다.

12일엔 중부 샤브와 주 바이한 지역의 정부군 보병여단이 AQAP의 기습을 받아 양측에서 사망자 30여명이 나는 교전 끝에 탱크, 군용차량, 장갑차 등을 빼앗겼다.

14일 중남부 입브, 타이즈, 후데이다, 다마르 시(市)를 비롯해 수도 사나에서는 후티에 반대하는 수니파의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이들은 후티 뿐 아니라 이들의 배후로 의심받는 이란과, 유엔 안보리에서 후티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이지 않는 러시아도 함께 규탄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