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진 친 새누리당, 당내 이탈표 단속 부심

입력 2015-02-15 16:11

새누리당은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에 사활을 걸고 당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더 이상 총리 낙마는 없다’며 16일 본회의 강행 처리 방침 배수진도 쳤다. 그러나 여론 악화에 따라 당내 표심이 흔들려 ‘반란표’가 나올까 우려하는 속내는 숨기지 못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지난 12일 본회의 표결 연기 결정 이후 여론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각종 시나리오별 전략 마련에 고심했다. 일단 이 후보자와 관련한 별 다른 돌발 변수가 발생하지 않은 만큼 어느 정도 한숨을 돌린 분위기다. 해외에 체류 중이었던 의원 4명도 주말 모두 귀국했다. ‘표 대결’ 상황으로만 보면 지난 12일보다는 여유로운 셈이다. 새누리당은 158석 중 비리 혐의로 구속된 송광호·조현룡 의원과 이 후보자 본인을 제외한 155명이 모두 16일 본회의에 참석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제명된 유승우 의원까지 합하면 최대 156석까지 확보 가능하다는 계산도 나온다.

새누리당은 당내 ‘이탈표’ 역시 극소수일 것으로 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이 30% 밑으로 떨어지는 등 당청 지지율이 쪼그라드는 상황이어서 ‘이번에도 밀리면 여권이 자멸한다’는 절박감을 소속 의원들이 충분히 공유하고 있다는 판단이다. 이 후보자 외에 마땅한 대안도 없는 만큼 인준 실패는 곧바로 국정주도권 상실을 불러올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는 것이다. 집권 3년차 당청지지율 반등을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개각이 완료돼야 하고 내년 총선을 대비한 전열 정비도 시급하다.

문제는 여론악화다. 야당이 이 후보자 자진사퇴를 강하게 주장하면서 여론 몰이에 나서고 있고, 현재로서는 본회의 불참 가능성도 높다. 당 일각에서는 총리 인준 이후 “여당이 ‘반쪽짜리’ 총리를 만들었다”는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당 지도부가 주말동안 소속 의원들에게 본회의 참석을 독려하며 의견을 물었을 때 ‘반대’ 의사를 밝혀 온 의원도 있었다고 한다. 이재오 의원 역시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의(大義)와 소리(小利)가 충돌할 때 군자(君子)는 대의를 택하고, 소인(小人)은 소리를 택한다. 정치인이라면 마땅히 대의를 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론을 무시한 당론 표결 강행 방침에 반대의견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이 꼽은 최상의 시나리오는 여야 모두 표결에 참석한 상황에서 임명동의안이 가결되는 것이지만, 만에 하나 이탈표가 예상치를 넘어 부결될 경우 여권은 상상하기 어려운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는 15일 기자들과 오찬 자리에서 “임명동의안을 당론 찬성으로 정할지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며 “16일 오전 야당의 참석 여부 등을 보고 논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지난 12일 밤 부인과 함께 서울 도곡동 자택을 떠나 강원도 모처로 옮겼다. 일부 측근과의 통화 외에는 외부와의 접촉을 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측근들에게 “내 잘못으로 일이 이렇게 번져 미안하다”며 자책한 것으로 전해졌다. 본회의 표결 때까지 최대한 ‘낮은 자세’를 유지해 긁어 부스럼을 만들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