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경기체감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19세 이상 성인남녀 800명 대상), 국민들의 93.9%가 현재 우리 경제상황을 불황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48.4%는 경제회복 시기에 대해 ‘내후년(2017년) 이후’라고 답변해, 불황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가계소득의 경우 ‘작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45.4%로 높은 가운데, ‘감소(39.6%)’ 의견이 ‘증가(13.7%)’ 답변보다 더 많았다. 소득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정규직(34.1%)보다는 비정규직(42.5%) 및 자영업(53.0%)에서 두드러졌다. 가계소비의 경우 국민 2명 중 1명(51.5%)은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응답했으며, ‘개선될 것’이라는 답변은 8.5%에 그쳤다.
경제생활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체감물가 상승(23.8%)’과 ‘소득 감소(20.1%)’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다음으로 가계부채(13.4%) 노후 불안(12.5%) 고용 불안(10.0%) 전·월세 등 주거비 부담(9.0%) 교육비(8.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민 10명 중 8명(80.2%)은 체감물가 수준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다’고 응답했으며, 1년 후 체감물가 수준에 대해서도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72.4%로 나타나 체감물가 상승을 예상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국민 10명중 9명 ˝체감경기 ‘불황˝… 절반은 ˝2017년후 회복˝
입력 2015-02-15 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