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가 신한금융지주 CEO 출신을 사외이사 후보로 낙점했다. 경쟁사 CEO 출신을 고위직으로 영입하는 것은 금융권에서 유례가 없는 일이다. ‘리딩뱅크'를 탈환하려는 KB의 몸부림으로 해석된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두 달 가까운 논의를 거쳐 지난 13일 선정한 최종 사외이사 후보 7명에는 25년간 신한에 몸담았던 최영휘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이 포함됐다. 국 금융사에서 경쟁업체의 전직 CEO를 사외이사로 영입한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최 전 사장은 한국은행에서 근무하다가 1974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재무부 사무관으로 재직했으나, 미래가 보장된 경제관료 자리를 박차고 나와 1982년 신한은행이 세워질 당시 합류한 신한의 '창립 멤버'다. 이후 국제부장, 뉴욕지점장, 종합기획부장 등 요직을 거쳐 1999년 신한은행 부행장, 2001년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마침내 2003년 신한금융 사장을 맡아 라응찬 회장에 이어 그룹의 2인자 자리에 올랐다. 최 사장은 굿모닝증권과 조흥은행 인수를 진두지휘하며 그룹의 브레인 역할을 했으나, 라 회장과의 불협화음 끝에 2007년 신한을 떠났다.
최 전 사장을 KB금융이 사외이사로 영입하는 것은 KB의 '절치부심'이 어느 정도인지를 짐작케 한다. 2007년 은행권 사상 최대의 이익인 2조8000억원의 순이익을 올리는 등 2000년대 후반까지 국민은행은 명실상부한 '리딩뱅크'였다. 하지만, 수년 전부터 신한은행에 1등 자리를 내줬고 지난해에도 2조원이 넘는 순익을 낸 신한에 크게 뒤졌다.
지난해 말 취임한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은 리딩뱅크 탈환을 지상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반드시 1등 은행 자리를 되찾아야 한다"는 얘기를 임직원들에게 수없이 강조하는 윤 회장은 신한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신한을 먼저 공부해야 한다며 사내에 '열공 모드'를 조성하고 있다.
특히 은행과 증권을 결합한 신한의 자산관리 경쟁력과 복합금융점포, 직원 한 명이 대출ㆍ예금ㆍ펀드ㆍ보험 등 고객의 다양한 업무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원스톱 뱅킹'과 같은 특화된 경쟁력을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이번 선임도 이러한 신한의 경쟁력을 속속들이 알고 있는 최 전 사장을 영입해 그의 경험과 지식을 100% 활용함으로써 반드시 신한을 넘어서고야 말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읽힌다.
한 금융권 인사는 "보수적인 국내 은행권 문화에서 최대 경쟁업체의 CEO를 사외이사로 영입한 것은 일종의 파격"이라며 "KB의 리딩뱅크 탈환을 위해 윤 회장이 얼마나 절치부심하는지 보여주는 것 아니겠냐"고 평가했다.
한편, KB금융지주 최종 사외이사 후보로는 최운열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 박재하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 부소장, 한종수 이화여대 경영대 교수, 김유니스 이화여대 로스쿨 교수, 이병남 LG인화원 원장 등이 선임됐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독하게 맘먹은 KB금융, 신한CEO 출신을 사외이사로
입력 2015-02-15 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