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중단 중인 30년 넘은 월성 1호기… 계속운전 할까?

입력 2015-02-12 19:04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2일 30년 수명을 마치고 3년째 중단 중인 경북 월성 1호기의 계속운전 여부를 놓고 재심의를 벌였다. 그러나 지난달 15일 열렸던 원안위 심의에 이어 이날 회의에서도 계속운전의 안전성 문제 등을 둘러싼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 쉽게 결론을 내지 못했다.

공방의 핵심은 역시나 월성 1호기가 향후 10년 더 가동해도 될 만큼 안전하느냐에 있다. 원안위 산하 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난해 10월 ‘계속운전 심사 보고서’에서 “안전성 측면에서 재가동에 문제없다”는 결론을 냈다. 지난달 6일 발표한 ‘월성1호기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도 가이드라인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정했다. 한수원이 재가동을 위한 설비투자 등에 이미 5600여억원을 투입한 점, 폐로시 비용 등도 계속운전 주장의 근거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민간검증단의 분석 결과는 상반됐다. 이들은 안전 문제점이 32건에 달한다며 재가동에 반대하고 있다. 주민 반대와 우려가 높아지면서 원안위 내부에서도 좀 더 시간을 두고 안전성 평가 부분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은철 위원장도 지난 11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월성1호기 계속운전 허가 심사와 관련 “(언제까지 심의하겠다고) 정한 것은 없다. (안전성 관련) 이견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위원님들이 충분히 판단을 하실 수 있을 때까지 심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설비용량이 67만9000㎾에 이르는 월성 1호기는 1983년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가동기한인 30년을 채우고 2012년 11월 가동이 중단된 이후 3년 째 멈춰서 있다. 원안위가 월성1호기의 계속운전을 허가하면 수명이 10년 연장돼 2022년까지 가동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영구정지가 결정되면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원자력안전법 개정안의 원전 해체 관련 규정에 따라 폐로 후 해체 절차가 진행된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