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이후 국내 중산층의 교육비와 주거비 부담이 크게 증가해 삶이 팍팍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2일 발표한 ‘우리나라 중산층 삶의 질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여년간 지출 부문에서 중산층의 주거, 교육, 여가 측면이 악화됐다. 주거 부분에서 중산층의 전세보증금은 1990~2013년 동안 연평균 11.8% 상승해 저소득층(10.7%), 고소득층(0.9%) 보다 부담이 크게 늘었다. 가계 지출에서 차지하는 교육비 비중도 1990년 13.4%에서 2013년 20.9%로 7.5% 포인트나 상승했다. 주거비와 교육비 부담이 커지면서 오락·문화 등 여가지출의 비중은 5.9%에서 5.3%로 줄었다. 보건·의료비지출 비중은 6.5%에서 0.1%포인트 감소한 6.4%로 거의 비슷했다.
중산층의 총 소득은 같은 기간 연평균 7.0%씩 늘어 저소득층(6.1%), 고소득층(6.8%)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연구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 맞춰 중위소득의 50∼150%에 속하는 이들을 중산층으로 분류해 분석했다. 그 결과 2013년 1140만 가구 가운데 중산층은 67.1%(765만 가구)를 차지했다. 한국 중산층의 4인가구 월 가처분소득은 193~579만원(중위값 약 386만원), 1인 가족은 96~289만원(중위값 193만원)이다. 1990년 중산층을 대표하는 특성은 4인가구, 30대 후반 가구주, 고졸, 외벌이 등이었지만 2013년에는 3인 가구, 40대 후반, 대졸, 맞벌이로 변화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중산층, 1990년이후 교육·주거비 부담 증가로 삶의 질 악화
입력 2015-02-12 1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