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영종대교에는 안개를 관측하는 장비가 한 대도 설치되지 않았다고 연합뉴스가 11일 보도했다. 영종대교에 짙게 깔린 안개가 100중 추돌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상황에서 기상당국은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보도에 따르면 오전 9시 인천공항 주변의 가시거리는 약 600m였다. 인천기상대 청사가 위치한 인천 전동 일대의 가시거리는 1500m였다. 그러나 영종대교에서는 안개를 관측하는 장비인 시정계가 한 대도 설치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인천기상대는 사고 시점인 오전 9시40분 이전에 영종대교의 구간별 가시거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일부 운전자들 사이에서는 사고 지점인 영종대교 서울방향 상부도로 13.9㎞ 주변 가시거리가 10m 안팎이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기상청이 5년째 시범운영 중인 안개특보제의 무용론도 불거졌다. 기상청은 2006년 10월 서해대교에서 짙은 안개 탓에 발생한 29중 추돌사고를 계기로 안개특보제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사고로 11명이 사망하고 50여명이 다쳤다. 기상청은 가시거리 100m 이하인 안개가 1시간 이상 걷히지 않을 경우 주의보를 발효하는 안개특보제를 2009년부터 시범운영했다. 당초 같은 해 12월부터 시행할 계획이었지만 시범운영은 5년 넘게 이어졌다.
인천기상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오전 5시30분쯤 한국도로공사 인천지사, 국민안전처, 중부해안경비안전본부 등으로 전화해 주의를 당부했다”고 밝혔지만 언론을 거치지 않아 사고 차량 운전자들에게는 전달되지 않았다.
인터넷에서는 기상당국을 향한 비난이 나왔다. 감속이나 주의하지 않은 일부 사고차량 운전자들의 책임을 묻는 네티즌들 사이에서 “영종대교에서 수시로 안개가 짙게 끼는데 어째서 관측 장비가 한 대도 없는 것인가” “사고차량의 운전자들 가운데 1명이라도 안개상황을 미리 알고 공항철도를 이용하거나 안개가 걷히는 시점까지 기다렸다면 대형사고로 이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지적이 있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
영종대교엔 안개 관측장비 없다… “운전자 1명만 안개상황 미리 알았어도”
입력 2015-02-11 14:27 수정 2015-02-11 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