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부터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소상공업, 의료, 물류 등 행정데이터 11억건이 공간정보와 결합돼 통합 제공된다. 또 유사 전자정부서비스를 한 곳에서 연계, 제공해 이용자 편의가 개선된다.
행정자치부 10일 올해 수요자 중심의 정부 구현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전자정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전자정부 업무계획에 따르면 지금까지 전국 지자체가 제각각 보유·공개한 지방행정시스템(시도·새올)의 영업 인허가 정보 530종 11억건이 4월부터 지방행정데이터 공유개방서비스를 통해 통합적으로 제공된다.
개인과 기업은 누구나 지방행정데이터 공유개방서비스를 창업과 경영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아이디어만 있으면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쉽게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서버와 개발도구를 제공하는 공공플랫폼인 ‘지앱’(G-App)을 시범사업으로 올해 추진한다.
정부는 10월까지 지앱을 구축하고, 12월에는 개발자와 기업이 참여하는 지앱공모전을 개최할 계획이다.
부처·서비스 사이 칸막이를 제거하는 ‘정부3.0’을 구현하기 위해 2만4000개에 이르는 각종 전자정부 서비스 가운데 유사·중복 서비스를 이용자의 수요에 맞춰 연계하는 사업도 전개한다.
박제국 행자부 전자정부국장은 “온라인 민원서류 발급이나 온라인 세금 납부 등 개별 전자정부 서비스는 다양하게 구축돼 있다”며 “앞으로 전자정부는 불편개선에서 더 나아가 국민이 원하는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단계를 지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
4월부터 전국 상권·의료 공공데이터 한곳에서 볼 수 있다
입력 2015-02-10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