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액 1000만원 이상 보이스피싱, 지방경찰청 전담수사팀이 맡는다

입력 2015-02-09 13:15

경찰청은 각 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에 보이스피싱 전담수사팀을 편성해 보이스피싱 총책·콜센터 검거에 수사력을 집중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금융사기가 많이 발생하는 서울지방경찰청과 경기지방경찰청에는 전담수사팀 4개씩을 운영하고 나머지 지방청은 1개팀을 꾸린다. 피해액 1000만원 이상 또는 피해계좌 3개 이상의 사건은 모두 지방경찰청의 전담수사팀이 맡는다.

이에 따라 일선 경찰서에서 수사하던 보이스피싱 37%, 대출사기 20%가량이 지방경찰청으로 이관된다. 다만 현행과 같이 모든 사건을 일선 경찰서가 접수해 초동수사를 진행하되 해당 기준에 해당하면 지방경찰청으로 이송한다. 사건 부담이 줄어든 일선 경찰서 지능·경제팀은 민원사건 등 생활경제 침해범죄에 주력할 방침이다.

경찰청은 올해 대포통장에 대한 특별단속을 하고, 대포물건 범죄에 대한 수사성과에 대해 이례적으로 특진·승급 등 포상을 할 계획이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7635건, 피해액은 974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60.2%, 76.4% 증가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