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응찬(77)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신한사태’와 관련해 지난 6일 피고발인 신분으로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은 가운데 참여연대와 금융정의연대가 8일 라 전 회장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두 단체는 “2010년 9월 신한사태가 발생해 라 전 회장의 온갖 불법·비리 행위가 문제가 됐지만 검찰은 그동안 라 전 회장에 대한 조사를 차일피일 미뤄왔다”며 “사건 발생 5년이 돼서야 조사를 진행하려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검찰이 앞으로 라 전 회장 등의 중요 불법·비리 행위들에 대해 제대로 수사하지 않고 엄벌을 추진하지 않으면 법무부 장관과 감찰위원회에 수사 담당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부에 대한 감찰을 요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또 “라 전 회장 등이 신한사태 피해자들의 개인신용정보를 장기간 조직적으로 불법조회·사찰·유출하는 등 악용했다”며 9일 전회장과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 등을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키로 했다.
아울러 전 정권에 대한 라 전 회장 측의 로비 의혹도 제기했다. 이들은 “신한은행 간부급 직원 제보에 따르면 신한사태 발생 직후인 2010년 11월께 라 전 회장이 예고없이 중국을 방문해 류우익 당시 주중 대사를 만나 신한사태 관련 로비를 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라 전 회장은 MB정권 당시 ‘영포라인’과 ‘상촌회’(상주촌놈회)의 비호를 받는다는 의혹을 받았었다”며 “류 전 대사와 라 전 회장이 모두 상촌회 회원이라는 점 등을 종합하면 로비 의혹은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끝으로 “서진원 현 신한은행장의 와병으로 신한은행이 새 은행장을 선출할 것이라는 전망이 높은데 2010년 신한사태를 전후한 각종 불법·부당행위를 주도했거나 적극 가담한 이들이 다시 신한은행이나 신한금융지주의 최고위급 직위를 맡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한은행의 내부 비리 사건인 신한사태는 2010년 신한은행이 전임 은행장인 신상훈 당시 신한지주회사 사장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면서 불거졌다.
임지훈 기자 zeitgeist@kmib.co.kr
시민단체 “검찰, 라응찬 전 신한회장 엄정 수사해야”
입력 2015-02-08 2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