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교복 업체들 입찰 담합 의혹

입력 2015-02-08 14:29

공정거래위원회가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와 관련해 대형 교복 업체들의 담합 의혹을 포착하고 조사에 나섰다.

공정위는 지난 6일 스마트학생복, 아이비클럽, 엘리트, 스쿨룩스 등 4대 대형 교복업체 본사와 대리점에 인력을 보내 담합 의혹과 관련해 조사를 벌였다고 8일 밝혔다. 공정위 관계자는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조사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는 학교가 경쟁 입찰로 교복 공급업자를 선정해 일괄적으로 구매하는 방식으로, 올해부터 모든 국·공립 중고등학교에서 시행 중이다. 학생들이 싼 가격에 좋은 품질의 교복을 입게 해주겠다는 취지다.

4대 업체는 중소 업체들에게 교복 시장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투찰 가격을 사전에 합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업체들은 손해 보지 않을 정도지만 자금력이 약한 중소업체들은 제시하기 어려운 15만원 정도로 교복 가격을 담합하는 식이다. 이런 방식의 담합이 계속되면 중소 업체들은 곧 도산해 대형 업체들이 시장을 나눠먹을 수 있다.

다만 공정위 관계자는 “불공정행위가 본사 차원의 결정이었는지 아니면 대리점 등 하위 유통단계의 문제인지는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고 말했다. 이어 “철저히 조사해서 불공정행위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면 엄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