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경선 레이스가 오는 8일 대의원 현장투표로 막을 내린다. 당원과 국민은 아름다운 경쟁과 축제 분위기를 요구했지만, 결과적으로 포연만 자욱이 남긴 채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누가 당 대표가 되더라도 새 지도부는 전대 후유증 치료와 함께 4월 보궐선거 ‘벼락치기’라는 과제를 안고 출발하게 됐다.
◇흥행·감동 없고 논란과 네거티브만 남아=이번 전당대회는 이른바 ‘빅3’(문재인 박지원 정세균 의원)간 승부로 예상되면서 시작 전부터 흥행요소가 반감된 채 출발했다. 지난해 12월 17일 비상대책위원이었던 세 의원이 비대위원직을 동반사퇴하자, 현역의원 30명이 불출마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등 당내에서는 출마 반대 요구가 쏟아졌다. 그러나 문·박 의원이 출마의지를 굽히지 않으면서 당 대표 경선은 일찌감치 양강 구도로 정리됐다.
논란은 새해 첫날부터 시작됐다. 박 의원이 먼저 “당명이 너무 길고 부르기 어렵다”며 ‘당명 변경’을 시사하자, 문 의원도 ‘새정치민주당’으로의 변경을 제안했다. 이어 전병헌 의원 등 최고위원 후보들도 당명 변경 주장에 가세했다. 그러자 새정치연합의 공동창업주인 안철수 전 대표가 즉각 “당명 때문에 우리 당이 집권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발끈했다. 이에 후보들이 꼬리를 내리며 당명 변경 논란은 일단락 됐다. 지난달 26일에는 문 의원의 ‘호남 총리’ 발언이 지역주의 조장 논란으로 이어졌다. 박 의원과 이 의원은 “계파주의도 모자라 지역주의까지 선거에 이용한다”며 문 의원을 거세게 몰아붙였다.
문·박 의원은 지난달 말 불거진 ‘룰 변경 논란’에서 격돌했다. 일반당원과 국민 여론조사에서 ‘지지후보 없음’ 항목을 무효표로 볼 것인지를 놓고 서로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했던 것. 박 의원은 친노(친노무현) 진영을 향해 “선거 하루 전에 룰을 바꾸는 비열한 집단”이라고 거친 말을 내뱉었고, 문 의원은 “잘못된 것을 바로잡았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결국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문 의원 측의 손을 들어줬지만 여진은 선거 막판까지 가라앉지 않았다.
◇상처는 깊고 해야 할 일은 산더미=당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누가 당 대표가 되도 안정적인 당 운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새 지도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과제는 경선 기간 빚어진 후유증을 치료하고, 계파갈등을 치유하는 일이다. TV토론회에서 서로를 향해 ‘저질’이라고 쏘아붙일 정도로 감정적인 상처를 주고받은 데다 ‘친노 대 비노(비노무현)’의 프레임에서 촉발된 갈등이 자칫 분당의 위기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코앞에 닥친 4월 보궐선거 준비도 부담스럽다. 옛 통합진보당의 해산으로 인해 치러지는 선거인만큼 패배할 경우 시작부터 당권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당해산으로 의석을 잃은 옛 통진당 소속 의원들이 이미 출마를 선언했고, 진보진영 신당 창당을 준비 중인 국민모임도 후보를 내기로 해 야권 표 분산 가능성도 매우 높다. 또 패배를 우려한 시민·사회단체의 야권연대 요구도 매우 거세질 수 있어 새 지도부가 이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도 일종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본선을 이틀 남긴 6일 세 후보는 모두 대의원 표심 공략 총력을 기울였다. 문·박 의원 측은 저마다 자신이 ‘박빙 우세’라는 판세를 내놓고 있다. 일반 당원과 국민 여론조사는 문 의원이, 권리당원은 박 의원이 우세인 가운데 대의원은 ‘박빙 혼전’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네거티브만 남기고 막 내리는 새정치연합 전당대회
입력 2015-02-06 1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