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가 빚 때문에 강제 매각당한 부동산을 제3자를 통해 다시 매입했다는 추측이 나와 일본 국회의원들이 파악을 요구하고 나섰다. 사실상 주일본 북한대사관 역할을 하는 조총련을 압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교도통신은 5일(현지시간) 오노데라 이쓰노리 전 방위상 등 일본 국회의원들로 구성된 ‘대화와 압력에 의한 북한 외교를 추진하는 모임’(이하 모임)이 이날 총리관저를 방문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에게 조총련 본부 건물과 토지의 매각 및 전매(轉賣) 경위를 조사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모임은 “조총련이 본부 건물과 토지를 사들인 ‘그린포리스트’와 임대차 계약을 체결해 현 자리에 계속 머물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전망에 관해 사실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총련 부동산은 경매를 거쳐 지난해 11월 마루나카 홀딩스라는 업체에 소유권이 이전됐으나 곧 전매됐다. 그린포리스트는 지난달 28일자로 소유권을 확보했다. 하지만 이들 부동산에 융자상한 50억 엔의 근저당권이 설정됐고. 근저당권자가 조총련 관련 시설인 조선출판회관을 최근까지 소유하고 있던 ‘하쿠산(白山)출판회관관리회’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조총련이 물밑에서 매입 자금을 댄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에 대한 압력이 적절히 활용되고 있는지 의구심을 지닌 의원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모임은 북한이 지난해 납북 일본인 문제 등을 재조사하고 중간 결과를 알려주겠다고 했으나 이를 실행에 옮기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적으로 주시하고 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일본 의원모임 '조선총련 부동산 우회매입설' 조사 요구
입력 2015-02-05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