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2년 연속 통합방위회의 주재 “총력안보태세 확립” 주문

입력 2015-02-05 10:18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오전 청와대에서 2년 연속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한다. 중앙통합방위회의에는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 국가정보원, 군, 검찰, 경찰과 광역 시도지사까지 총출동하는 회의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2월7일 47차 회의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주재하는 이번 회의를 통해 국내외 안보 환경과 북한의 도발 위협 등 현 안보 상황을 점검한다.

청와대는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연이어 주재하는 것은 현재의 엄중한 안보상황을 감안해 국민의 높은 안보의식을 바탕으로 민·관·군·경이 하나된 총력 안보태세를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상황인식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번 회의에서는 1년간 추진한 후속조치 과제에 대한 진단과 올해 통합방위태세 추진 방향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박 대통령을 비롯한 참석자들은 현 시점에서 새로운 안보위협과 작전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방위체계의 패러다임을 재설계할 필요성에 공감하며 ‘통합방위체계 재정립 방안’에 대한 발표와 토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중앙통합방위회의는 지난 1968년 박 대통령의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주재로 제1야전군사령부에서 무장공비 침투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해 치안관계관 회의 성격으로 처음 열렸다. 같은 해 발생한 무장공비 청와대 습격사건인 ‘1·21 사태(일명 김신조 사건)’가 발생하자 1988년까지 매년 대통령이 회의를 주재했고, 이후에는 대통령 또는 총리 주재로 매년 열려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