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의 여신건전성 격차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2008년 3분기 0.7∼0.9% 수준이었던 국민·신한·우리·하나·외환·스탠다드차타드(SC)·씨티 등 7개 시중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014년 3분기에 1.1∼2.4%로 범위가 넓어졌다.
여신건전도는 위험도가 낮은 순서대로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개 단계로 나뉘는데,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회수 가능성이 낮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여신의 비중을 뜻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떼일 확률이 큰 대출이 많다는 의미다.
2008년 3분기 기준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가장 낮은 은행은 외환은행으로 0.69%였고, 우리(0.75%), 국민(0.78%) 등이 시중은행 평균(0.82%)보다 낮았다. 가장 높은 은행은 하나(0.95%)와 SC(0.94%)였지만 평균과의 격차는 그리 크지 않았다.
그러나 6년 만인 2014년 3분기에는 가장 낮은 신한은행(1.07%)과 가장 높은 우리은행(2.36%) 간 격차가 1%포인트 이상으로 크게 벌어졌다. 부실채권에 대한 은행의 충격 흡수 여력을 뜻하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고정이하여신 대비)도 같은 기간에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2008년 3분기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가장 낮은 하나은행이 143.3%, 가장 높은 외환은행이 189.7% 수준으로 격차가 50%포인트 내외였다. 그러나 2014년 3분기에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 높은 씨티(258.8%), 신한(155.6%)과 이 비율이 낮은 우리은행(92.1%)간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부실이 나면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미리 쌓아두는 대손충당금도 시중은행 간 차이가 두드러지게 달라진 것이다.
은행권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높아진 것은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이 강화된 탓도 있지만 금호아시아나, STX, 동부 등 일부 대기업의 구조조정 여파와 조선·건설 경기의 침체로 기업 부실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시중은행 건전성 격차 커진다
입력 2015-02-05 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