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개도국 개발전략 변경...필요사업 발굴해 마스터플랜 지원

입력 2015-02-04 09:57
아시아·남미·아프리카 등 건설 인프라 신시장 개척을 위해 정부가 이전과 다른 지원 전략을 펴고 있다. 과거 해외 발주 EPC(설계·조달·시공) 사업 수주에 총력을 기울였던 것에서 개도국에 필요한 사업 수요를 발굴해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무게 중심을 옮긴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인도네시아·스리랑카·방글라데시·라오스 등 아시아 4개국과 남미의 페루, 서아프리카의 코트디부아르 등 6개국에서 7건의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용역을 발주했다고 4일 밝혔다.

신도시·산업단지·경제구역 등을 개발하는 도시사업과 국가도로망·대중교통 계획을 수립하는 교통 인프라 사업, 치수 등 수자원 사업이 이번 마스터플랜 수립 대상이다. 국토부는 또 사업 기획 단계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도로공사(EX),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공기업과 민간기업이 함께 참여하고 운영·정비를 지원하는 형태의 사업 모델도 개발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는 기획재정부 등과 협조해 정책 금융 부문의 지원을 특히 확대할 계획”이라며 “신도시·댐·도로 건설 등 경험이 풍부한 공기업과 민간이 함께 투자개발사업에 참여하는 모델도 확산시켜 수주 경쟁력을 끌어올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