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절반 이상은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우리 사회의 안전 불감증은 여전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개발연구원 김동영 생태환경연구실장은 ‘경기도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4대 전략’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경기개발연구원이 최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설문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3.1%)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54.5%가 ‘세월호 사건 이후 우리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과 대응은 좋아지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또 2012년 9월 발생한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이후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비 태세는 개선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62.5%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는 의견도 56.0%에 이르렀다.
김 실장은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고대응체계의 선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범정부적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의 실효성 확보,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운영, 산업단지 주변지역 주민 안전계획 수립, 안전교육·홍보 및 주민참여 훈련 강화 등 4대 전략을 제시했다.
이 밖에도 사업장별 2년 단위 안전진단 의무화 및 위험등급별 맞춤관리와 지역사회 안전관리 역량을 높이고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방안도 주장했다.
김 실장은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 조성을 위해 경기도는 주민이 참여하는 사고대응 훈련 강화, 사업장 안전진단과 위험등급별 맞춤 관리 확대, 환경닥터제를 통한 영세사업장 지원 강화, 사업장의 화학물질 정보 공개와 위험지도 작성 등에 역점을 두고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내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조사 결과,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안전관리를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곳이 대부분으로 안전관리 및 사고대비 태세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국민 절반이상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우리 사회 안전 불감증은 여전˝
입력 2015-02-04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