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인 청와대 안보특보가 청와대 국가 안보실을 중심으로 사이버 안보 컨트롤타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정보보호 예산을 5% 미만으로 편성하는 등 관련 대책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 특보는 미래창조과학부 주관으로 3일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정보보호 대토론회’에서 “청와대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정보원, 행정자치부 등 유관부처 기능이 합쳐진 컨트롤타워를 구축할 것”이라며 “현재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힌 상태”라고 말했다.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 출신인 임 특보는 “북한으로부터 여러 차례 (사이버) 공격을 당하면서도 사이버 안보와 관련된 컨트롤타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며 “국가 안보실을 중심으로 한 유관 부처 컨트롤타워 체계를 구축해 신속하고 총체적으로 사이버 보안을 지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이재일 본부장은 ‘2014년 정보보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약 97%의 기업이 정보보호 예산을 IT 예산의 5% 미만으로 편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 이상 투자기업도 2013년 대비 0.5%포인트 하락한 2.7%에 불과했다. 클라우드·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 신규서비스 보안에 투자한 기업은 7.7%에 그쳤다.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은 다소 늘었지만 전담 조직을 꾸리거나 최고 책임자를 임명하는 비율은 하락했다.
정보보호 투자 활성화를 위해 토론회 참석자들은 정보보호 서비스 대가를 현실화 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KT 신수정 전무는 “정보 공유, 제도적 측면, 전문보안회사와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종록 미래부 제2차관도 “아직도 많은 기업이 정보보호를 ‘투자’가 아닌 ‘비용’으로 인식한다”며 “보안이 ‘골칫거리인 나라’가 아닌 보안으로 ‘먹고사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부는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검토해 정보보호 투자 활성화 및 산업육성,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강화, 정보보호인력양성강화 방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임종인 안보특보 “국가안보실 중심 컨트롤타워 구축”
입력 2015-02-03 1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