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전당대회 룰 조정으로 드러난 새정치연합의 무능.무책임

입력 2015-02-03 16:44

새정치민주연합이 전당대회 룰 문제를 두고 우왕좌왕하며 무능한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룰을 담당하는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가 미숙함을 드러낸 결과다. 앞서 전준위는 ‘총선 룰’을 만들겠다고 했다가 비노(노무현) 진영의 반발을 샀는데, 결과적으로 총선 룰은커녕 ‘전대 룰’도 제대로 못 만들었다는 비판이다. 제1야당의 전대 룰이 매번 오락가락하다보니 합의된 당의 ‘관례’라는 것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총선룰 손대던 전준위, 전대룰에서 큰 실수=전준위는 3일 당무위원회 보고를 통해 논란 끝에 전날 표결로 결정한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시행세칙’ 해석을 확정했다. 앞서 전준위는 “여론조사에서 ‘지지후보 없음’을 무효투표 처리해야한다”는 문재인 의원 측 주장을 받아들였다. 다만 해석 내용을 시행규칙에 담는 개정작업은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김성곤 전준위원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해석을 바로 잡은 것만 해도 선거를 코앞에 두고 바꿨다고 공격하는데 개정까지 하면 특정계파를 위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며 “당무위에서도 전준위 결정에 대한 반발이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애초에 애매한 여론조사 규정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했고, 무리한 해석 변경이라는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는 비판이다. 전대가 끝난 뒤에도 문 의원이나 박지원 의원 측이 각자 주장을 내세우면서 두고두고 분란의 소재가 될 공산이 크다.

새정치연합은 이번 논쟁 과정에서 당 선관위가 논란 초기에 ‘지지 후보 없음’을 유효표로 인정해야 한다며 박 의원 측 손을 들어준 바 있다. 같은 당 안에서도 공식 기구별로 그때그때 해석이 충돌하는 셈이다.

박 의원 측은 성명을 내고 “문 의원이 전대 사상 초유의 ‘막판 룰 변경’이라는 반칙까지 동원해 당대 표에 집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고위원 후보인 주승용 의원도 성명을 내고 “시행세칙에 분명하게 명문화되어 있는 것을 자의적으로 재해석하며 일방의 편을 들어준 것은 공정선거 관리 의무를 저버린 행위”라고 꼬집었다. 일각에서는 과거 이승만 정권의 ‘사사오입’ 같은 억지 해석이라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문 의원은 트위터 등을 통해 “당내 싸움은 일체 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문 의원 측은 박 의원을 향해 “전준위의 공정한 해석을 문 의원 측의 책임으로 둔갑시켜 계파 갈등을 부추기는 행태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는 논평을 냈다.

◇지난 7년 동안 매번 달라진 경선룰=새정치연합은 과거 민주당 시절부터 전당대회를 열 때마다 잦은 룰 변경으로 진통을 겪었다. 누가 유력한 당 대표 후보인가에 따라 경선 룰이 널뛰기하기도 했다. 특히 2008년 이후로는 매번 다른 룰로 경선을 치렀다. 직전 전당대회인 2013년 5·4전당대회 때는 여론조사가 20%만 반영된 반면, 2012년 6·9전당대회 때는 ‘국민참여경선’이라는 이름으로 당원·시민의 모바일 투표를 70%나 반영했다. 투표권이 있는 당원의 기준도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고 있다. 원칙이 없다보니 지루한 샅바싸움이 계속되고, 극심한 계파 갈등이 반복된다는 비판이다. 어수선한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이날부터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사전투표에 돌입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