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비상등’ 켜진 일본 후속테러 경계 강화

입력 2015-02-03 21:09
AFPBBNews=News1

일본 열도에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비상등이 켜졌다. IS가 일본인 인질을 살해하고 추가 테러를 예고하면서 일본 정부가 국내외 테러 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경찰청이 도쿄 총리 관저에 늘 배치되는 기동대와 별도로 대원을 대기시키기로 했다고 3일 보도했다. 총리 관저뿐만 아니라 하네다 국제공항 등 공항은 물론 주일미군 시설, 자위대 시설, 원자력 관련 시설, 전력·교통 등과 관련한 전국의 인프라 시설에 대한 경비도 강화하기로 했다. IS에 대항하는 연합국에 참가한 미국, 프랑스 등의 국가에 있는 주일 대사관도 경계 강화 대상에 포함됐다.

다른 부처들도 잇따라 관계 대책을 내놓았다. 법무성은 테러리스트 유입을 막기 위해 외국인 정보를 분석하는 20명 규모의 전담 부서를 연내에 입국관리국 안에 만들기로 했고, 외무성은 126만명에 달하는 재외 일본인의 신변 안전 강화를 위한 재외국민 안전 검토팀을 만들기로 했다. 국토교통성은 외국 선박에 대한 출입 검사 강화, 공항·철도 등 중요시설 경비 강화, 여행객 및 해외 근무자 안전 확보 등을 총괄하는 ‘국제테러대책본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또 오는 18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테러 대응 정상회의에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을 참석시키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테러 방지를 위한 국제 협력에도 나서고 있다. 다만 IS에 대한 군사적 응징에는 다소 신중한 모양새를 보였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전날 국회에서 “중동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계속하되 IS를 공습하는 국가를 후방지원 하는 데는 동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숨진 고토 겐지(47)가 시리아로 떠나기 전 외무성이 3차례나 여행 자제를 권고했으며, 고토가 숨지기 전에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외무성 관계자는 1번은 직접 만나서, 2번은 전화로 고토에게 시리아 여행을 자제할 것을 요청했다. 인질 협상 과정에서도 IS가 그를 여성 테러리스트와의 맞교환 장소로 제시한 터키 국경 근처로 이송했었다고 NHK가 시리아 반정부 활동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석방 협상에 한때나마 진전이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NHK는 전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