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위축이 해외 유학·연수 발걸음마저 멈춰 세웠다. 9년 만에 해외로 빠져나간 유학·연수 비용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유학생(어학연수·교환학생 포함)의 학비와 체류비로 해외로 나간 금액은 37억210만달러(약 4조801억원)로 전년보다 14% 줄었다. 이는 2005년의 33억8090만달러 이후 9년 만에 최처치다.
해외유학·연수 지급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에 50억2530만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하고서 2008년 44억8450만달러, 2009년 39억9920만달로 줄었다. 이어 2010년 44억8800만달러로 반등했다가 2011년 43억9000만달러, 2012년 41억5000만달러, 2013년 43억700만달러 등을 기록했다.
해외 유학·연수 지급액이 줄어든 것은 무엇보다 유학생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매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집계하는 한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해 21만9543명으로 1년 만에 3.3%(7583명) 감소했다. 유학생 수는 2011년의 26만2465명을 정점으로 3년 연속 줄었다. 상대적으로 학비·체류비가 많이 드는 영국, 미국, 호주 등에서 유학생 감소율이 두드러졌다. 반면, 필리핀 유학생은 2013년 4668명에서 작년 7천73명으로 52% 급증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경기가 좋은 상황이 아니어서 유학생이 전반적으로 줄었다"면서 "그러나 비교적 비용이 적은 동남아시아 국가 쪽 유학 수요는 늘었다"고 말했다.
경기 위축이 해외유학 연수도 세웠다
입력 2015-02-03 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