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선거 일주일도 안 남겨두고 '지각' 룰 싸움...초박빙 선거 반영?

입력 2015-02-02 16:16

새정치민주연합 당권주자인 문재인·박지원 의원이 2일 일주일도 남지 않은 ‘2·8 전당대회’ 룰을 두고 뒤늦게 정면충돌했다. 문 의원 측이 지난해 12월 확정된 여론조사 시행세칙에 대해 뒤늦게 문제제기를 하고, 이에 박 의원이 반발하는 모양새다. 당내에서는 애초 크게 앞서 있던 문 의원의 ‘대세론’이 흔들리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박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12월 29일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시행세칙을 이미 확정을 해서 후보들에게 배포했다”며 “100미터 경주 가운데 90미터를 갔는데 이제 와서 이런 요구(룰 수정)를 한다면 전대를 다시 시작하자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당시 확정된 시행세칙 25조와 26조를 보면 전당대회 여론조사(일반당원·국민)를 실시하면서 각 후보자뿐 아니라 ‘지지후보 없음’까지 포함해서 물어보도록 돼 있다. 시행세칙은 응답거부나 무응답은 무효처리한다고 명시했지만 ‘지지 후보 없음’을 어떻게 처리할지는 규정하지 않고 있다. ‘지지후보 없음’도 응답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유효표 처리해야 한다는 것이 박 의원 측 입장이다.

그러자 문 의원 측은 곧바로 반박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김형기 부대변인은 “일반적인 여론조사 방식은 이렇게 해도 문제가 없지만, 이번에는 투표행위이기 때문에 이 같은 형식은 표심 반영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며 “100점 만점 시험에서 30점 해당하는 문제를 ‘정답 없음’으로 해서 70점 만점으로 만드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지지 후보 없음’은 후보를 선택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무효표 처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여론조사는 애초 큰 관심사가 아니었다. 여론조사는 전체 투표 중 반영비율이 25%수준인데다, 이 중 ‘지지후보 없음’ 응답비율도 그다지 높지 않아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거전이 접전으로 바뀌면서 이 문제가 당락을 가를 수도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당직자는 “문 의원이 선거에서 압승할 분위기라면 지금 시점에 선거 룰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겠느냐”며 “선거전이 박빙으로 가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노영민 의원 등 일부 친노(친노무현)계 의원들과 구청장들이 박 의원 측의 반발에도 불구, 문 의원 지지 문자를 보내는 것도 ‘문재인 대세론’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 일각에서는 전당대회 룰조차 매끈하게 정리하지 못한 제 1야당의 ‘아마추어리즘’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편, 당권주자들은 이날 일제히 당의 ‘심장부’인 호남으로 향했다. 문 의원은 전주를 찾아 지지를 호소했다. 박 의원도 전북을 방문했고, 이 의원도 광주시의회와 전북도의회를 찾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 소속 서울시의원 76명 중 39명이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의원을 지지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임성수 최승욱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