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인 신체 마비, 언어 장애 발생 후 24시간 내에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으면 뇌경색 발생 위험을 5%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시보라매병원(병원장 윤강섭)은 신경과 이용석 교수팀이 국내 11개 대학병원 뇌졸중센터에서 일과성 뇌허혈발작 진단을 받은 뇌졸중 환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아 응급처치를 받은 경우 3개월 내 뇌경색 발생률이 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이는 과거 해외 연구에서 일과성 뇌허혈 발작 환자 중 10%가 3개월 이내 뇌경색증을 합병하게 된다고 보고된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일과성 뇌허혈 발작은 뇌로 가는 혈관이 일시적으로 막혀 신체 마비, 언어 장애, 발음 이상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다시 회복되는 질환이다. 일시적 증세 이후 멀쩡해지기 때문에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무심코 넘어가기 쉽다.
하지만 일과성 뇌허혈 발작은 뇌경색의 전조 증상으로 뇌경색 환자의 30% 정도가 이를 경험한다고 하며, 발병 후 초기 48시간 이내 뇌경색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고, 뇌경색 합병 시 뇌세포가 일부 손상돼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 후유증을 영구적으로 겪을 확률이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교수팀이 이번 조사한 환자들은 일과성 뇌허혈 발작 발병 후 24시간 안에 병원을 찾아 신속하게 뇌졸중 전문 검사와 적절한 치료를 받은 이들로 30.0%는 MRI 검사 결과 뇌경색 초기단계였고, 36.6%는 뇌혈관 협착증을 동반하고 있었다. 또 10명 중 약 6명(64%)은 반신마비, 2명은 언어장애 증상을 이미 겪은 상태였다. 또 발병 전 3분의 2는 고혈압, 나머지는 고지혈증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교수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등 뇌졸중의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가 일시적인 반신마비, 언어장애, 발음이상 등의 증상이 발생한 경우 지체 없이 뇌졸중 전문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의사협회(JAMA)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자마 뉴로롤로지’ 12일자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일과성 뇌허헐 발작 집중 치료해야 뇌경색증 발병위험 낮춰
입력 2015-02-02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