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프랑스가 양국 총리회담을 계기로 원자력 및 항공, 전력, 환경보호, 금융 분야 등 총 11개의 협정에 서명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취임 후 처음으로 중국을 공식 방문한 마뉘엘 발스 프랑스 총리와 2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회담을 열어 양국 관계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30일 전했다.
양국은 두 총리의 회담 후 에너지, 항공, 전력, 환경보호 등 분야에서 양자간 협력문건에 서명했다고 중국 외교부는 전했다.
이와 관련, AFP 통신은 "양국이 총 11개 항목의 협정에 서명했다"면서 이 중에는 프랑스전력공사(EDF)와 중국광핵집단공사(CGN) 간의 원자로 설계에 관한 협정과 프랑스가 산시성의 공원 건설에 3천만 유로(약 373억원)의 차관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이와 관련해 양국이 산시성에 습지공원을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리 총리는 회담에서 "중국은 프랑스와의 전면적 전략동반자 관계를 더욱 긴밀하고 지속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시대로 끌어올리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핵에너지, 우주항공, 고속철 등 전통적 영역의 협력 강화, 의료·위생, 생태·환경보호, 금융 등 새로운 영역 개척, 제3국 시장 공동 개척, 무역투자 잠재력 발굴, 인적교류 편리화 촉진, 프랑스의 중국에 대한 첨단기술 상품 수출 확대 등을 주문했다.
발스 총리도 "프랑스가 중국과 함께 우주항공, 핵에너지, 금융, 고속철, 신에너지 차량, 관광 등 협력을 강화하고 제3국 시장도 공동으로 개척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간 무역 불균형 문제도 주요 의제로 올랐다.
발스 총리는 공동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무역에 대한 재균형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프랑스 상품이 중국 시장에 더 많이 진출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리 총리도 "중국은 지속 가능하고 균형 있는 무역을 희망한다"면서 무역 보호주의에 반대하고 자유무역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프랑스는 2013년 기준으로 중국에 대해 260억 유로(약 32조 3천억원)의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발스 총리는 취임 후 처음으로 29일부터 31일까지 중국을 방문, 리커창 총리와 회담했으며 시진핑 국가주석과 장더장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과도 회동할 예정이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중국-프랑스, 원자력 협력 등 11개 협정 체결
입력 2015-01-30 15:08